[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태양광 보급 확대와 농업 소득 향상을 동시에 꾀하는 ‘영농형 태양광’이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을 통해 본격적인 제도화와 확산에 시동을 걸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전력수요가 많은 수도권에 대해 태양광 발전사업을 활용한 규모화·집적화된 ‘영농형 태양광 조성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정부는 농업인 소득 증대와 식량안보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과 햇빛소득마을에 대한 제도화를 준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업주체, 농지 허용범위, 시설규정, 전력계통, 주민수용성 등 제도 전반에 여러 가지 시각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이번 시범사업은 농업·농촌의 태양광 제도화에 앞서 규모화·집적화와 함께 수익을 지역에 환원하는 모델을 접목해 추진된다.
사업 대상지는 현재 전력계통 문제가 없고, 산업단지 등으로 전력수요가 높은 경기 수도권이며, 발전규모 1MW 이상으로 규모 있는 영농형 태양광 모델 2개소를 우선 조성한다.
대상 부지는 한국농어촌공사가 보유한 비축농지와 마을주민의 참여농지 등을 임차해 설치하는 형태이다. 의무영농 등 영농형 태양광 제도 취지에 맞도록, 조성 후에는 전담기관을 지정해 실제 영농여부 확인과 수확량에 대한 모니터링도 실시할 계획이다.
태양광 발전사업을 통한 수익은 마을공동체가 공유토록 지역에 환원한다. 시범사업은 공모 후 12월 중에 대상마을을 선정할 계획이다. 발전사업 준비 과정부터 필요한 사항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지원에 나선다.
농식품부는 부지임대 뿐만 아니라, 발전사업 등 사업 전반에 걸친 자문과 사업관리 등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재 준비중인 ‘햇빛소득마을’ 시범사업도 조속히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박해청 농촌탄소중립정책과장은 “영농형 태양광과 햇빛소득마을 조성 등 농업·농촌 재생에너지 보급을 준비하고 있다”며, “처음 도입되는 제도인 만큼, 질서 있고 안정적으로 제도가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정부는 제도화 과정에 다양한 시범 모델을 활용할 계획”이라며, “시범사업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제도와 정책에 반영해 시행 준비에 철저를 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명승엽PD의 이슈리포트] 글로벌 태양광, 대전환의 기로… 불확실성이 촉발한 투자·기술 지형 재편
- 경북도, 태양광 확산 본격화… 햇빛 소득마을 조성 및 영농형 태양광 추진
- 국회, ‘농민중심 영농형 태양광 거버넌스 포럼’ 발족
- 임철현 교수, ‘지금부터 시작하는 영농형 태양광’ 출간… “농지 보전·소득 증대 해법”
- 경북도, ‘햇빛연금’ 목표로 ‘초거대 영농형 태양광’ 조성한다
- 에너지와공간, 농촌 에너지 전환 위한 ‘영농형 태양광’ 보고서 발간
- 영암군, ‘영농형 태양광 재배모델 실증포장 모내기 시연회’ 개최
- ‘태양광 마을’ 찾은 경기도농수산진흥원, 농촌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방안 모색
- 해남군, ‘영농형 태양광’ 설치 완료… 재배모델 실증연구 본격 추진
- [In터뷰] 농림축산식품부 박해청 과장 “농촌 탄소중립 실현… ‘영농형 태양광’ 도입 중요해”
- 광주시, 전국 최초 ‘RE100 연계 영농형 태양광’ 추진… 농업-에너지 상생모델 구축
- 영농형 태양광 토론회 개최… 농촌 살리는 에너지 전환 방향 모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