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왼쪽)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2일 한미 관세 협상 추가 논의를 위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기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왼쪽)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2일 한미 관세 협상 추가 논의를 위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기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을 위해 다시 방미하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2일 “한미 양국 간 의견이 많이 좁혀졌지만 아직 팽팽하게 대립하는 한두 가지 분야가 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날 오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취재진을 만나 “우리나라 국익에 최선이 되는 협상안을 만들러 간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두 사람은 미국 워싱턴 DC 방문 뒤 김 실장은 19일, 김 장관은 20일 귀국한 바 있다.

양국이 협상안 세부 조율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정부 협상단은 이번에도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협상을 이어갈 계획이다.

김 실장은 다음 주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합의문이 도출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쟁점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어떤 특정 시점까지 합의된 내용을 가지고 MOU(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방안은 정부가 고려하고 있지 않다”면서 “MOU 전체에 대해 양국이 합의해야 성과물로 (협상이) 마무리되는 것이지, 그전에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이라는 특정 시점 때문에 중요한 부분을 남겨둔 채 합의된 부분만으로 사인하는 것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통상 MOU 등 부분에서 (협상이) 완료되면 통상 분야도 발표할 것이고, 지난번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잠정적으로 합의한 큰 성과들이 많이 있는데 그 성과들도 한 번에 대외적으로 발표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안보 등 여러 이슈가 있다”며 “지난번 통상 분야이 마무리되지 못한 것이 다른 분야까지 잠정적으로 (보류)된 결과로 이어졌는데, 이번에 통상 분야에서 양국 이익이 합치되는 방향으로 협상이 마무리될 수 있으면 그런(정상간 합의문 발표) 결과도 예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다만 협상이란 게 상대방이 있고 시시때때로 상황이 바뀌기 때문에 미리 예단해서 말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