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이뤄진 한·미 통상 합의가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크게 낮추는 계기가 됐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총재는 18일 오전 방송된 B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기초 과학 역량과 한국의 제조·응용 기술이 결합한 합작 투자가 확대된다면 매우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대미 관세 부과의 영향과 관련해 “올해 상반기 수출 호조 덕분에 지표는 나쁘지 않았지만, 하반기에는 더 큰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그는 한국 기업들의 공급망 재편이 이미 무역 갈등 이전부터 시작됐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중국 외 지역으로 생산기지를 다변화한 것은 무역 긴장 때문만이 아니라, 일부 산업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크게 확대되면서 시장 조정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기술 분야에 대한 평가도 이어졌다.
이 총재는 “AI를 비롯한 신기술은 한국 경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또 다른 축”이라며 “한국은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하드웨어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만큼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AI 거품론에 대해서는 “일부 거품이 존재하더라도 AI 경쟁은 계속될 것이며 결국 AI 붐 역시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특히 “AI가 대규모 서버는 물론 소형 기기와 피지컬 AI 등 다양한 형태로 확산하면서 반도체 수요가 폭증할 것”이라며 “이 분야에서 한국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비교적 안전한 위치에 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