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표지석 / 사진 = 김은경기자
금감원 표지석 / 사진 = 김은경기자

[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지난 9월 말 기준 보험회사 대출채권 규모가 전년 대비 감소했음에도 연체율과 부실채권비율 등 주요 건전성 지표는 오히려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가 대출 지표 악화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됐다.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9월 말 보험회사 대출채권 현황’에 따르면 보험사 대출채권 잔액은 261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분기 말 265조4000억원 대비 4조원 줄었고, 1년 전 266조9000억원과 비교해서는 5조5000억원 감소한 수준이다. 세부적으로 가계대출은 133조3000억원, 기업대출은 128조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출의 질을 보여주는 건전성 지표는 악화 흐름을 보였다. 대출채권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81%로 전년 동기(0.62%)보다 0.19%포인트 상승했고, 부실채권비율(고정이하 여신 비율)도 0.98%로 1년 전(0.71%) 대비 0.27%포인트 높아졌다.

다만 지난 6월 말과 비교하면 연체율과 부실채권비율 모두 0.02%포인트씩 낮아지며 분기 기준으로는 소폭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건전성 악화의 가장 큰 원인은 홈플러스 사태로 분석된다. 홈플러스 대출채권이 올해 2분기부터 연체채권으로 분류되면서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3월 0.09%에서 6월 0.71%로 급등했다.

부실채권비율 역시 홈플러스 대출이 전액 고정이하여신으로 재분류되자 지난해 말 0.15%에서 올해 3월 0.86%로 뛰어올랐다.

금감원 관계자는 “홈플러스 영향으로 전년 대비 지표가 악화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제외할 경우 큰 변화는 없었다”며 “올해 초 다소 상승했던 연체율도 현재는 소폭 안정화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런 흐름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 관계자는 “홈플러스 사태는 보험업권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증권·캐피탈 등 다른 금융권에도 대출이 있다”며 “홈플러스 매각 여부나 회생 절차 진행 상황을 지켜봐야 해 연말까지는 변동성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감원은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대출 건전성 지표의 추가 악화 가능성이 상존하는 만큼, 향후 연체·부실 확대에 대비해 보험사의 손실흡수능력 확충과 리스크 관리 강화를 지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