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산업부(장관 문승욱)는 원자력발전의 감축을 위해 발전사업 또는 전원개발사업을 중단한 사업자에 대해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사용해 비용을 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사업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6월 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1일 밝혔다.
![산업부는 시행령이 시행될 올해 12월초까지 비용보전 범위 및 절차 등 세부내용을 규정한 하위규정(고시)을 마련할 예정이다. [사진=utoimag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6/42529_41346_3723.jpg)
시행령 개정안은 전기사업법 시행령 제34조(기금의 사용)에 제8호를 신설한 것으로,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사용해 비용을 보전할 수 있는 사업으로 원자력발전의 감축을 위하여 발전사업 또는 전원개발촉진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전원개발사업을 중단한 사업자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인정하는 지원사업’이란 내용을 담았다.
정부는 2017년 10월 24일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된 ‘에너지전환 로드맵’을 통해 원전의 단계적 감축과 관련해 사업자가 적법하고 정당하게 지출한 비용에 대해 정부가 기금 등 여유재원을 활용해 보전한다는 원칙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에너지전환 로드맵’의 후속조치가 순차적으로 진행돼 온 데 반해, 비용보전을 위한 법적근거가 마련되지 못해 실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사용해 비용을 보전할 수 있는 근거법령이 갖춰졌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20대 국회에서 원전을 감축한 사업자에 대한 비용보전을 위한 입법(법률 제정)이 논의됐으나 회기 종료로 폐기돼, 우선적으로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게 됐다”며, “이번 시행령 개정과 별도로, 제21대 국회에서 진행 중인 에너지전환 관련 법률제정 논의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시행령이 시행될 올해 12월초까지 비용보전 범위 및 절차 등 세부내용을 규정한 하위규정(고시)을 마련할 예정이며, 이후 원전사업자(한국수력원자력)의 비용보전 신청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 ‘원전 5기 태양광 잠재량’ 산단 지붕태양광 활성화 입법 추진
- 산업부, 그린뉴딜·탄소중립 실현 위해 ‘에너지 기술혁신’ 1조1,326억원 투자
- [2021 태양광 시장전망] 그린뉴딜 정책이 태양광 살려… REC, 계통 등 숙제 남아
-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전원별 설비 구성 ‘석탄’ 15%↓, ‘신재생에너지’ 24.5%↑
- 산업부, 제1회 에너지혁신기업 연대·협력 포럼 및 투자설명회 개최
- ‘2050년 탄소중립’ 선언한 일본, 재생에너지 및 전기차 도입 확대
- 산업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사용전검사 시 공사 감리보고서 제출 의무화”
- 산업부, 재제조 산업 일으켜 탄소중립 효율성 높인다
- 산업부 문승욱 장관, “전력 공급·전달·산업생태계 등 3대 분야 혁신해 달라”
- 산업부, 탄소중립·디지털전환 표준화 나선다
- 수송용 연료,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의무 비율 0.5%p 상향
- 산업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 추진
- 정부, ‘에너지전환(원전감축) 비용보전 이행계획’ 확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