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산업부문의 순환경제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을 촉진하기 위해 재제조 기업 육성과 재제조 신사업 발굴 지원 사업이 올해 처음 추진된다.
산업부(장관 문승욱)는 6월 7일 재제조 기업의 질적 성장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재제조 기업 맞춤형 성장 지원사업’ 신규 선정기업 35개사를 발표하고, ‘재제조 기반 제품서비스 신사업 발굴·실증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고 밝혔다.
![‘재제조’는 사용 후 제품을 원래 성능으로 복원·생산하는 산업으로 탄소절감 효과가 큰(신품대비 약 50~90%) 탄소중립 핵심산업 중 하나다. [사진=utoimag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6/42601_41489_740.jpg)
‘재제조’는 사용 후 제품을 원래 성능으로 복원·생산하는 산업으로 탄소절감 효과가 큰(신품대비 약 50~90%) 탄소중립 핵심산업의 하나로 평가되나, 영세한 기업규모, 한정된 산업 영역·형태 등으로 성장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산업부는 먼저 ‘재제조 기업 맞춤형 성장 지원사업’을 통해 중소·중견 재제조 기업의 품질·환경 관리 역량강화 및 우수기술·공정 도입을 지원한다. 선정된 35개 기업을 대상으로 재제조 제품 품질·환경 관리 컨설팅을 제공하고, 이 중 우수한 10개 사업장에 대해서는 기술·공정개선과 전시회 참가 등 제품 홍보를 추가 지원한다. 선정된 35개 기업은 ‘자동차’ 분야 카런, 부학산업 등 8개, ‘전기·전자제품’ 분야 현우종합상사 등 8개, ‘산업・건설기계’ 분야 서구상사 등 19개다.
또한 산업부는 재제조 산업의 활성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신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해당 사업의 시장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재제조 기반 제품서비스 신사업 발굴·실증사업’을 시작한다.
![재제조 개념[자료=산업부]](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6/42601_41488_019.jpg)
올해 2개 기업(또는 컨소시엄)을 선정해 사업화 문제점 도출·해결책을 마련하고 수요·공급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사업화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 황수성 산업정책관은 “산업부문 탄소중립의 실현을 위해서는 폐자원을 고부가 산업원료 또는 제품으로 순환시키는 재제조 산업의 양적·질적 성장이 중요하다”라며, “올해 재제조 산업을 시작으로 앞으로 금속 재자원화 산업 등 순환경제 산업 전반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수소경제 활성화 본격 시동… 11개 수소전문기업 최초 지정
- 정유업계,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개발 본격 나선다
- 산업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사용전검사 시 공사 감리보고서 제출 의무화”
- 산업부, “원전사업자 비용보전 신청 가능해진다.”
- 산업부, 태양광 발전설비 '원격감시 및 제어' 안전기준 마련
- 효율은 높이고 새는 에너지는 막아라!, 태양광 O&M 시장은 효율과의 전쟁중
- 산업부, 7월까지 7만4,000여개 태양광, 풍력발전설비 안전점검
- 산업부 문승욱 장관, “전력 공급·전달·산업생태계 등 3대 분야 혁신해 달라”
- 창원시, 역대 최대 규모 ‘20억원 상당 탄소배출권’ 획득
- 산업부, 탄소중립·디지털전환 표준화 나선다
-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 전력시장 밖에서도 거래된다
- 수송용 연료,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의무 비율 0.5%p 상향
- 산업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 추진
- 탄소세 도입 추진하는 EU, 국내 철강산업 ‘직격타’… 정부 “피해 최소화에 총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