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삼성SDI가 스텔란티스(Stellantis)와 함께 미국 첫 전기차 배터리 셀·모듈 합작법인 부지를 인디애나주 코코모시로 선정하고 25억달러 이상 투자에 나선다.

삼성SDI는 24일(현지시간) 양사와 인디애나주 정부는 미국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서 투자 발표 행사를 열고 합작법인(JV, Joint Venture)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에릭 홀콤 인디애나주 주지사, 브래들리 체임버스 인디애나주 상무장관, 타일러 무어 코코모 시장 등 정부 관계자,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사장)와 마크 스튜어트 스텔란티스 북미 COO 등 양사 주요 경영진들이 참석했다.
합작법인은 올해 말 착공에 들어가 2025년 1분기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될 예정이다. 초기 연간 23GWh 규모로 전기차 배터리 셀·모듈 생산을 시작해 33GWh로 확장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투자 역시 31억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합작법인 부지로 선정된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는 이미 스텔란티스의 부품 생산공장이 가동 중인데, 여기에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배터리 생산공장까지 들어서면 인디애나는 북미 스텔란티스 전기차 생산의 전초기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합작법인에서 생산되는 배터리에는 PRiMX로 대표되는 삼성SDI의 최신 기술력이 적용될 예정이다. PRiMX는 지난해 말 삼성SDI가 배터리 업계 최초로 론칭한 브랜드로 올 1월 미국 CES 2022에서 처음 공개됐고 삼성SDI가 생산하는 모든 배터리를 통칭한다.
삼성SDI 최윤호 사장은 “합작법인 부지 선정에 도움을 주신 인디애나주와 스텔란티스 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스텔란티스와의 합작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북미 전기차 시장에 확고한 발판을 마련했고, 앞으로 기후 변화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텔란티스 카를로스 타바레스(Carlos Tavares) CEO는 “1년 전 우리는 유럽과 북미에 5개의 기가팩토리를 기반으로 하는 공격적인 전동화 전략을 추진한 바 있다”며, “이번 발표로 데어 포워드 2030(Dare Forward 2030)에서 언급한 ‘탈(脫)탄소 미래’를 향한 스텔란티스의 추진력을 보여주는 한편, 우리의 글로벌 배터리 생산 전략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B트렌드] 배터리 키우겠다는 尹정부... 美 동맹 강화로 풀어내나
- 이차전지 주도권 전쟁 시작, 글로벌 ‘러브콜’ 받는 장비업체
- [B트렌드] 배터리3사 ‘1분기’ 경영실적... 삼성SDI ‘맑음’, SK온 ‘흐림’
- 삼성SDI 최윤호 사장, ‘오픈토크’ 개최... 본격 임직원 소통 행보
- 삼성SDI, 전고체 전지 파일럿 라인 착공
- 삼성SDI, ESG경영 대폭 강화!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신설
- “K-배터리 활약 돋보인 지난해, 2025년 미국 내 설비 비중 70%까지 확대”
- 삼성SDI, 새 배터리 브랜드 ‘프라이맥스’ 공개… 기술의 정점 지향
- 삼성SDI 최윤호 사장, 초격차 기술·품질 기반 질적 성장 강조… “1등 만들자”
- 경기도, 네오배터리머티리얼즈 전기차 배터리 소재 공장 평택 유치
- 삼성SDI, 말레이시아 원형 배터리 라인 증설... 1.7조원 투자
- 삼성SDI, 배터리 초격차 기술력 확보 나서… 해외 R&D 연구소 잇달아 설립
- 美 인디애나 주지사 ‘삼성SDI’ 천안사업장 방문… 협력 논의
- 삼성SDI, 유럽 상용차 시장 공략 강화… 하노버서 배터리 혁신 기술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