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트렌드] 美 2022 인플레이션 감축법 통과 이후 ‘배터리 산업’ 판도는?
  • 이건오 기자
  • 승인 2022.08.07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 대만 방문, 예민한 중국… CATL 미국 배터리 공장 발표도 미뤄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을 비롯한 경제적인 마찰이 배터리 산업에도 번지는 모양새다. 지난 4일, 낸시 펠로시(Nancy Pelosi) 미국 하원의장이 대만을 방문하자 중국은 대만해협 중간선을 넘어 해협 동부 수역으로 장거리 실탄 사격을 하는 등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대대적인 전기차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 등 중국 발 전기차 배터리 수입을 견제하고 있어 이와 관련된 업계의 대응도 주목되고 있다.

올해 8~9월 미국 의회 통과가 예상되고 있는 ‘2022년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of 2022)’은 기후대응 및 관련 공급망 구축에 10년간 4,300억달러(562조원) 규모의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고, 물가상승 등 자국 경제 안정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대만에 이어 지난 4일 한국 방문 시 판문점을 방문해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사진=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트위터]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해 가장 수혜가 예상되는 분야는 전기차와 배터리 분야다. 법안에 따르면, 2032년까지 10년간 중·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중고 전기차는 4,000달러, 전기차 신차는 7,500달러의 세액 공제를 지원한다. 이러한 세액 공제를 통해 전기차 판매량 증가와 핵심 부품인 배터리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더불어 세액 공제의 핵심은 대상이 되는 전기차의 배터리에 들어가는 원자재 비율에 따라 보조금 지급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것인데, 해당 법안에서는 원자재를 미국 내에서 조달하거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한 국가에서 원자재를 들여와 제조한 전기차 배터리에 보조금을 주는 것으로 돼 있다. 원자재 비율은 2024년에는 40%, 2026년에는 80%까지 늘려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수출 장벽 앞에 놓인 중국은 전기차 배터리 내수시장 활성화 이후 글로벌 시장으로 공급을 확대함에 있어 제동이 걸리게 됐다. 미국과 달리 전기차 보조금 축소 정책을 펴고 있는 유럽의 경우도, 그 배경에는 배터리 공급사가 몰려 있는 동아시아 쪽으로 대부분의 전기차 지원금이 흘러가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로 분석되고 있어 중국의 고민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미국과 중국의 민감한 기류에 미국과 멕시코에 50억달러(6조5,000억원)를 투자해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을 건립할 계획인 글로벌 최대 배터리 기업 CATL도 북미 투자 계획 발표를 미룬 것으로 보인다.

최근 블룸버그에서 보도한 바에 따르면, 테슬라와 포드에 공급할 수십억 달러 규모의 CATL 북미 전기차 배터리 공장건립 투자 계획 발표가 몇 주 안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으나 연기됐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인해 민감해진 시기에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어 시기를 늦춘 것으로 파악된다.

CATL은 2026년까지 미국 텍사스 등에 배터리 생산 공장을 설립하고 보다 가격경쟁력을 갖춘 배터리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CATL의 영향력은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다. SNE리서치에서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조사에서 CATL은 70.9GWh를 판매하며 시장점유율을 34.8%로 늘렸다. 지난해 동기에는 28.6%를 기록했다.

미국의 2022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해 가장 수혜가 예상되는 분야는 전기차와 배터리 분야다. [사진=utoimage]

업계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경제적 대립 상황에서 K-배터리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입장과 리튬 등 주요 배터리 소재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 역제재가 있을 경우 더 큰 피해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먼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통과되면, 북미 전기차 판매와 전기차 배터리 판매 사업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국내 기업들은 미국 합작회사, 현지 생산시설 등 적극적인 투자 전략을 추진해온 터라 이러한 미국의 친환경 노선이 매출 확보에도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다. 더불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업들도 반사이익을 가져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굴기로 엄청난 내수시장을 형성하며 전기차 배터리 세계 패권을 쥔 중국과 본격적인 전기차 확대를 준비하고 있는 미국의 대립이 첨예하다”며, “미국은 물가상승을 비롯한 자국 경제의 안정화와 기후위기 대응 기조의 재생에너지, 전기차 확대를 통한 경제 성장을 한배에 태웠다. 중간 선거를 앞둔 승부수로 법안 통과가 우리나라를 비롯한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은 배터리 소재 등 중국의 의존도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는 없지만 지속적인 공급망 다각화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며, “최근 완성차 업체들이 가격을 이유로 채택해 다시 부상하고 있는 LFP(리튬인산철)배터리 등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