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로이터통신이 지난 17일(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미국에 수입되는 중국산 양면모듈에도 관세를 부과해달라는 한화큐셀의 요청을 미국 정부가 수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로이터에 따르면, 한화큐셀은 지난 2월 23일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양면형 패널의 수입 급증에 따른 부정적인 시장 여건이 일부 기업들의 대미 투자 계획을 다시 생각하게 하고 있다”며, 태양광 양면형 패널의 관세 면제를 폐지해달라고 공식 청원했다.
태양광기업들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 덕분에 시작한 대미 투자를 계속하려면, 관세 면제 폐지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번 청원에는 ‘퍼스트솔라’, ‘수니바’ 등 미국에 제조공장이 있는 7개 태양광 제조사도 지지를 표명했다.
미국은 수입 태양광 패널에 14.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대형 전력사업에 주로 사용되는 양면형 패널은 예외로 했다. 미국이 태양광 패널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시작할 당시에만 해도 시장이 단면형 패널로 형성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후 글로벌 태양광 시장에 양면형 패널이 급속도록 확산됐고, 현재 미국 내 수입 모듈의 98%를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값싼 수입산 태양광을 구매해 온 설치 사업자들과 한화큐셀 등 미국에서 태양광을 생산하는 기업들 사이에서 관세 문제를 놓고 갈등이 이어져 왔다.
그러나 미 정부가 양면형 태양광에 대한 관세 면제를 언제 폐지할지에 대해서는 결정한 바가 없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백악관 당국자는 “우리는 인플레이션감축법이 촉발한 역사적인 투자가 성공하도록 우리의 모든 옵션을 계속 보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과 노동자들은 누구와도 경쟁할 수 있지만, 그들은 공정한 경기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호주, 자국 태양광산업 육성 의지 밝혀… 대규모 보조금 지원 정책 추진
- 중국산 공세에 내몰리는 유럽 태양광 기업들… EU, 다양한 지원방안 모색
- 한화큐셀, 현대차 공장에 ‘큐피크 듀오 G11’ 모듈 설치… 20MW 태양광 공급
- 한화큐셀, ‘큐트론 G2’ 탑콘 모듈 한국·유럽 동시 출시… 최대 출력 630W
- 한화큐셀, 마이크로소프트와 12GW 규모 태양광 장기 파트너십 체결
- 한화큐셀, Cell Engineering 인수… 고효율 태양전지 제조 경쟁력 확보
- 한화큐셀, 1분기 미국 상업용 태양광 모듈 시장 35% 점유… 14분기 연속 1위
- 한화큐셀, 유럽서 10년 연속 Top Brand PV 선정… 3개 글로벌 어워드 수상
- 한화큐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시장 도전장… “탑콘 아성 넘을 것”
- 中, 분산형 태양광발전 보급 ‘사상 최고치’… 전력망 접속능력 증대 필요
- 한화큐셀, 中 공장서 모듈 생산‧판매 중단… 美 태양광사업에 집중
- 한화큐셀의 상업용 태양광 EPC 자회사 ‘인에이블’, 美 450MW 태양광 수주
- [스페셜리포트] “꽃이 지고 나서야 봄이 오려나” 외면받는 태양광에 길잃은 모듈산업
- [태양광간담회] 차세대 태양광 모듈 ‘고효율’ 기술 열전! 기업별 2024년 사업 전략은?
- 한화큐셀, 美 태양광 통합 생산단지 ‘솔라 허브’ 순항… 카터스빌 공장 본격 가동
- 美, 수입 양면모듈에도 관세 부과… 중국산 견제에 한화큐셀 기대감↑
- 글로벌 태양광 설치량, 지난해 440GW… 올해 최대 650GW 전망
- 태양광발전소 ‘클리핑’, 손실 아닌 기회의 전략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