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에너지 토털 솔루션 시대 여는 ‘ESS’ 산업 전망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국내 ESS 시장은 신재생에너지 연계형으로 설치할 경우 REC 5.0 부여, 공공기관 의무 설치, 특례요금제 등의 제도적 지원을 힘입어 급성장하고 있는 분야다.
그러나 REC 가중치에 대한 변동성 및 불안요소, 리튬이온배터리 수급문제, ESS 제작업체 급증 등에 따른 문제도 가시화되고 있다. 또한, 지방선거를 앞두고 신재생에너지 및 ESS와 관련해 지자체의 미온한 태도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사진=dreamstim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5/23498_14197_306.jpg)
업계의 공통적인 목소리를 정리하자면, 단기적으로 배터리 가격이 떨어질 기미가 없는 상황에서 REC 가중치를 포함한 불안정한 RPS 정책에 혼란스러움을 느끼고 있다. 이에 시장 활성화와 관련 기업들의 비즈니스 전략 수립을 위해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또한, 소용량 ESS의 경우 점차 사업성이 떨어질 것이 우려돼 일정 기준 이하 용량에 한해 중소기업품목 지정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ESS 관련 거래시장 마련, 금융논리가 아닌 기술경쟁이 이뤄질 수 있는 토대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있었다.
ESS 시장의 성장과 함께 새롭게 나타나는 트렌드는 어떻게 생산하고 공급할 것인가를 넘어 더 효율적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경쟁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태양광 연계형 ESS를 기준으로 보면, 100kW부터 MW급까지 다양한 타깃형 ESS가 개발되고 있고, EMS·PMS·BMS 등 다양한 매니지먼트 분야에도 획기적인 진화가 이뤄지고 있다.
![[사진=한화에너지]](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5/23498_14198_321.jpg)
비상발전,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등 여러 가지 사업모델과 연계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통신에 이상이 생겨 단절됐을 때도 PLC가 최소한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체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시장에 나오고 있다.
계속되는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ESS 시장은 향후 계속해서 상승그래프를 그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지원제도 변화에 따라 시장에 영향을 주겠지만 그 성장세는 꾸준히 이어질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증대와 맞물려 ESS 시장의 확대는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향후 기술력·가격경쟁력에서 뒤처지면 선도적으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국가 및 기업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이에 정부 및 기업 등 주요 관계자들의 소통과 협업이 필요한 시점이며, 분산전원 및 마이크로그리드의 시대를 대비하는 제도적, 기술적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파카코리아, IoT 연계는 ESS 시장의 변화 몰고 올 것
- [PV CON] ESS 활성화 위해서 REC 정책의 안정화 필요
- [PVCON 프리뷰] 효성, 태양광연계 ESS 구축위한 체크포인트 설명
- 신재생에너지 발전 통한 분산전원시스템 도입 시급
- 인센티브 제도가 발전단가 하락, 신재생 전력 구매 유도
- 프로스트 앤 설리번, 2018 글로벌 ESS 부문 이끌 6가지 전망 발표
- [ESS 엑스포 프리뷰] 대건소프트, 태양광 연계 ESS용 EMS 선보일 계획
- [ESS 엑스포 프리뷰] 리얼테크, 95kW 옥내외형 ESS용 PCS 선보인다
- 신흥에스이씨, 일체형 모듈로 원형배터리 팩 안정성 갖춰
- [ESS 엑스포 프리뷰] 더블유이엔지, GRP Cooling 시스템 선보여
- 잉여전력, 에너지저장장치와 가상발전으로 활성화 가능
- 태양광연계 ESS 가중치 5.0 내년 연말까지 유효
- 한국형 FIT 제도 부활로 소규모태양광 확대된다
- 산업용 ESS 시장··· 급성장하는 미국인가, 잠재력 높은 유럽인가
- ESS 시장의 현재 트렌드는 소형화·렌탈 서비스
- 한화솔라파워, 태양광 분야 글로벌 1등 IPP 사업자를 목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