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계통 부하·수요 등 분석 및 상호운용 가능한 범용 플랫폼 개발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한전 전력연구원은 태양광 발전기, 에너지저장장치 등 분산 자원의 정보와 마이크로그리드 내 전력설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그리드(MG) 공통 플랫폼’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분산전원을 수용한 계통 운영·관리 시스템 등이 전력 IT 회사들에 의해 개발돼 왔으나 모든 사이트에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범용 운영시스템 플랫폼 기술은 전무한 상태였다. 마이크로그리드 공통플랫폼은 배전 계통 내 설비 정보와 계량·계측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처리·분석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범용 플랫폼이다.
![[이미지=dreamstim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5/23757_14500_5646.jpg)
전력연구원이 개발한 MG 공통 플랫폼은 전력 설비 정보와 계량·계측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처리·분석할 수 있으며, 표준 정보 모델링, 분산 발전량 예측, 상태 추정 및 조류계산, 전력거래 서비스 등을 기본 서비스로 제공하는 개발 운영 플랫폼이다.
분산자원을 활용한 전력거래시스템 개발사업, 스마트시티 구축사업,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사업 등 다양한 사업자 간의 통합 운영을 지원하고 마이크로그리드 환경 내 장치 및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을 국제표준에 기반해 제공한다. 특히, 본 플랫폼의 연구결과로 단체표준 7건, KS 1건, IEC 표준(제안) 2건의 표준이 개발됐다.
MG 공통 플랫폼은 고가의 상용 솔루션 대신 오픈소스를 활용함으로써, 재사업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기존에 검증된 오픈소스 기술을 적용 및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해 이미 주식회사 엘시스 등 국내 8개 기업으로 기술이전을 완료했다.
![[이미지=한전 전력연구원]](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5/23757_14501_5755.png)
전력연구원은 2017년 9월부터 나주 동수농공단지에서 녹색에너지연구원과 공동으로 이번 플랫폼에 대한 본격적인 실증·운영을 시작했으며 5월 실증종료를 앞두고 있다. 이번 경험을 토대로 본격 사업화를 시작하고, 해외시장에 진출할 계획이고 마이크로그리드 분야 뿐만 아니라 전력 SW 개발사업자, 지역단위 전력사업을 운영하는 사업자, 디지털변전소 감시/제어반 구축 등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가상현실과 VR 콘텐츠로 현장실습교육 한계 극복
- 재생에너지 발전량 위한 맞춤형 기상예보 제공된다
- 한전, 전기차-전력망 통합시스템 개발
- 비용 저감 잠재력 갖춘 건식 CO2 포집기술 국제 선도
- 전력과 제조분야 역량 공유 및 협력 이뤄진다
- 한전, 똑똑한 원격검침용 계량기 개발
- 녹색에너지연구원, 태양광·풍력·마이크로그리드 등 영역 확대 ‘폭풍성장’
-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사고 팔 수 있게 된다
- 마이크로그리드, ESS와 ICT산업과의 시너지에 주목
- 전력연구원, 스마트센서 활용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전력연구원, 질소산화물 저감 위한 가스터빈 연소튜닝기술 현장적용
- 전력연구원, 디지털변전소 네트워크 시스템 핵심기술 공유
- 한전 전력연구원, 12kW 염전용 수중 태양광 발전시스템 시범 운영 성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