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방제일 기자] 알파고를 통해 전 세계에 이름을 떨친 딥러닝은 대상의 특징을 수동으로 정의하는 것이 아닌 기술이 자가학습을 통해 발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머신비전에서 최근 사용되는 딥러닝 검사방식은 이미지 중 일부를 추출해 다양한 조합 혹은 레이어로 묶고 조합 간 상호관계를 분석해 정답에 도달하기 위한 중요한 조합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딥러닝 방식에 대해 수아랩 방해운 팀장은 2018 경남 창원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 엑스포 강연을 통해 “딥러닝 방식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며, “기존 딥러닝 문제점이었던 적은 데이터와 디버깅의 어려움과 새로운 불량 유형의 내재적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알고리즘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딥러닝 알고리즘은 다양한 표본을 자가학습해 불량 검사시 판별 정확도와 속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비정형 이미지를 해석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제조 현장인 창원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2018 경남 창원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엑스포(SMART FACTORY KOREA 2018)는 9월 5일부터 7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고 있다.
관련기사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경남테크노파크, 경남 제조 기업 스마트공장 도입 위한 기업지원 박차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태진시스템,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생산관리를 위한 MES 도입 전략 제시
- 리치앤타임, 기술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디지털 매뉴팩처링 도입 전략 밝혀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데이터로직, 바코드 및 머신 비전 통해 미래 제조환경 변화에 대응 촉구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티라유텍, 생산 밸류체인 디지털화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구축 서둘러야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유니버설로봇, 생산성 향상 위한 새로운 솔루션으로써 협동로봇역할 강조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뉴로메카, RaaS 통한 협동로봇 자동화 구축 전략 선보여
- 수아랩, 190억원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 성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