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경북지역 농어업인의 농외소득 증대를 위해 경상북도가 ‘2020년도 햇살에너지농사’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지원사업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과 유엔 기후변화협약 등 에너지 전환 정책에 발맞추기 위함이다.
경상북도의 ‘햇살에너지농사’ 지원사업은 전국 유일의 ‘에너지사업육성기금’을 조성해 농어촌 건축물, 유휴부지 등에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의 생산·판매로 농외소득을 창출하고, 탄소저감을 위한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도 부합하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사업이다.
이번 지원사업은 경북도가 신재생에너지 확대보급을 위해 2016년부터 역점시책으로 추진해 왔다. 그간 안정적인 농외소득 창출 효과가 검증돼 매년 신청자 수가 2배 이상(2019년 총 136건) 늘고 있는 상황이어서 도내 농어업인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에너지사업육성기금을 2019년부터 50억원에서 80억원 규모로 확대 조성해 오고 있으며, 금년도의 경우 약 11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공고일 현재 도내에 주소를 둔 농어업인 및 농어업인 단체이며, 개인은 태양광발전 시설용량 100㎾ 기준 1억4,000만원, 단체는 태양광발전 시설용량 500㎾ 기준 7억원까지, 6개월 거치 11년 6개월 원금균등분할상환이며 연리 1%로 융자 지원한다.
다만, 경북도는 무분별한 농지잠식을 예방하고자 논‧밭 ‧과수원 등 실제로 농작물 경작지로 이용되는 토지, 건축물대장 미등록 및 준공검사가 완료되지 않은 건축물 등에 대해서는 지원하지 않을 방침이다.
지원희망자는 경상북도 홈페이지 ‘도정소식-알림마당/고시공고’에서 신청서를 다운받아 3월 2일부터 3월 27일까지 경상북도 환동해지역본부 에너지산업과로 우편 접수하면 된다.
경북도 동해안전략산업국 김한수 국장은 “경북형 영농태양광과 주민참여형 사업모델 발굴 등을 통해 에너지신산업을 확대하여 도민들의 농외소득과 신규 일자리 창출을 도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농식품부, 영농형 태양광 재배모델 실증지원 5개 지역 확정
- 제주CFI 2030편②- 제주 태양광, 제도 정비 통해 위기를 넘어서 기회로
- 에너지공단, 농어촌지역 재생에너지 확대 위해 농어촌공사와 ‘맞손’
- 녹색에너지연구원, ‘국제 심포지엄’ 통해 영농형태양광 활성화 도모
- 한국영농형태양광협회, 녹색에너지연구원과 상호교류 업무협약 체결
- 한국남동발전, 영농형태양광 시범사업 준공 및 운영지원센터 개소
- ‘발전과 농사’ 모두 생산하는 영농형태양광 설치 노하우
- “10만 농가의 농민연금, 농촌태양광 확산 위한 정책·제도 개선 시급하다”
- 동서발전, 파주에 농촌 상생형 친환경 연료전지 사업 추진
- 영농병행 태양광발전 통해 농가소득 증진 및 농지활용성 제고한다
- 한전, 2019년 영업적자 1조원 이상… “탈원전 때문 아니다”
- 경북도, 도내 전기차 증가 위해 하반기 구매보조금 확대
- 경북도, 산지개발 안전관리체계 특별 안전감찰 실시
- 온실가스 저감형 사료 개발 나선다… 경북도, 케이씨피드와 MOU 체결
- 경북도, 수소연료전지 클러스터 구축 본격 나선다
- 경북도 미래전략 키워드, “수소, 그린바이오, 우주, 데이터 순환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