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국회 산자위 양금희 의원(대구 북구갑)이 대표 발의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앞으로 정부는 중소기업 간 기술거래에 있어 기술이 사업화 되는 과정까지 지원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양금희 의원 [사진=양금희 의원실]](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3/41805_40126_2647.jpg)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2020년 기술이전 사업화 실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술이전 계약건수’ 총 8,458건 중 7,680건(90.8%)이 중소기업으로 기술이 이전된 계약 건이며, ‘이전된 기술건수’는 전체 1만1,676건 중 9,145건(78.3%)가 이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중소기업이 시장의 주역임에도, 기존에는 기업이 ‘자체’ 기술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경우에만 정부 지원받을 수 있었기에 외부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은 부담이 클 수밖에 없었다.
중기부가 ‘기술이전 촉진계획’을 마련했지만, 전담기관의 부재 및 미미한 지원 등으로 기업의 관심이 저조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앞으로 중소기업간 기술거래를 정부가 지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거래되는 기술이 사업화 되는 과정까지 정부가 지원가능해 질 것으로 전망이다. [사진=부산스마트제조혁신센터]](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3/41805_40125_2433.jpg)
이번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개정안은 중소기업이 타 연구기관이나 중소기업이 개발한 기술을 사들여 이를 사업에 운영하는 경우, 정부가 다양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기술보증기금에 전담 조직을 두고 중소기업 기술거래 활성화를 위해 △기술거래 알선 및 중개 △연구개발 지원 △정보망의 구축·운영 및 관리 △기술신탁관리에 관한 사업 △기술의 매입 및 기술에 대한 투자 △수요발굴 및 조사·분석 등의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양금희 의원은 “지금까지는 ‘기술혁신’ 개념의 범위가 협소한 관계로 중소기업이 기술거래를 하는 데 있어 제한적인 지원을 받고 있어 거래시장이 활성화되고 못했다”며, “중소기업이 기술을 거래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면 국내 응용기술은 물론 원천기술 개발에도 활기가 띨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중소기업간 기술거래 정부지원 추진…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 개정안 발의
- 산업부, 시장 중심 산업R&D 혁신 위해 R&D 샌드박스 도입한다
- KIAT-포스코, 기술나눔으로 중소기업 디지털·그린뉴딜 지원
- 디지털전환 시대, 미동 없는 중소 제조기업에 일본·독일도 골머리
- 시민 태운 ‘자율주행버스’ 세종BRT 달린다
- 중소기업용 데이터센터 역할에 협동조합 ‘주목’… 업종별 수용성 이점 커
- 4대 과기원 참여하는 '중소기업 R&D 공유센터' 오는 6일 출범
- TIPA, 중소기업 ‘R&D멘토링’ 제1기 수료… 개방형 R&D 인큐베이터로 자리잡아
- 스마트제조혁신 지원, 생태계 중심으로 확장…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본격화
- 중기부, 비수도권 13개 지역 테크노파크 장비 고도화… 지역주력산업 성장 지원
- 산업부, 디지털 혁신센터 개소…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박차
- 아이투프럼, “비대면 솔루션으로 ‘금형 제조’ 디지털전환 길 틀 것”
- 인포코리아, 산업별 특화된 SW 솔루션으로 기업 디지털전환 가속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