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문승욱 장관은 7월 9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를 방문해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을 비롯한 중소기업인 10여명과 함께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간담회는 산업부 장관 취임 후 첫 중소기업중앙회 초청 간담회로 산업부와 주요 업종별 중소기업인 간 경영현장 애로에 대한 교감과 소통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또한 동 간담회를 계기로 문 장관은 7월 1일부터 5인 이상·50인 미만 사업장까지 적용이 확대되는 주52시간 근무제의 조기 안착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을 안내하고 정책 건의를 수렴했다.
문승욱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한국 경제가 상반기 수출 사상 첫 3,000억불 돌파 등 ‘빠르고 강한 회복’을 이어가고 있는 것은 우리 경제의 근간인 중소기업인들의 든든한 뒷받침 덕분에 가능한 것”이라며, “최근 주52시간제의 전면 시행에 따른 조기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뿌리·섬유 등 취약업종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 지원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이어 “특히 뿌리업계의 주52시간 정착을 위해 생산현장에 지능형 뿌리공정 시스템 구축을 확대해 근로시간 단축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중기중앙회 김기문 회장은 “경제가 확실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탄소중립, ESG 경영 등 새로운 시대를 준비해야 하는 중소기업의 두려움이 많다”며, “산업정책 주무부처인 산업부가 현장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어려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손을 내밀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동 간담회에서 중소기업계는 뿌리산업계 현실을 반영한 정책추진을 위한 소통 강화, 산업부가 마련 중인 K-ESG 지표의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부문 강화 등을 건의했다.
이에 문승욱 장관은 “뿌리업계와 보다 긴밀히 소통해 정책을 추진하고 하반기 뿌리산업법 시행령 등 하위법령 개정 과정에서도 업계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면서, “K-ESG 가이드라인에 동반성장평가지수와 공급망 ESG 협력 등을 반영하도록 검토 중에 있으며, ESG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중소기업 ESG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막 꽃피는 시장이 서리 맞는 형국, 태양광 REC 가중치 현행 유지해야”
- 산업부-중기부, 산업대전환 중소·중견기업 지원 맞손… 디지털 전환·탄소중립 등 산업현장 혁신
- 소부장 산업, 일본 의존도 감소… 소부장 중소‧중견기업 13개사에서 31개로 증가
- 산업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 추진
- 중후장대 산업에 AI 기술 본격 적용시킨다
- 산업부-포스코 그룹, 중소기업에 친환경‧스마트화 기술공개… 총 588건 무상이전 추진
- 탄소세 도입 추진하는 EU, 국내 철강산업 ‘직격타’… 정부 “피해 최소화에 총력”
- 산업부 ‘전기전자 탄소중립위원회’, “AI·데이터 활용으로 타 제조업종 공정효율 개선, 저손실 전력망 구축해야”
- 산업표준화법 시행령 개정, 농업‧신산업‧융복합 분야 KS 표준 전문화된다
- 탄소중립 실현 핵심인 '그린수소 생산기술 국제표준화' 한국이 주도한다
- 비효율적으로 인증시간·비용 들었던 ‘인증셔틀’ 사라진다
- 에너지시스템 혁신 가속화한다… 산업부, 에너지 차관 신설
- 멕시코 에너지부 장관 만난 문승욱 장관, 에너지 협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