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경기도는 경기도 자율주행센터에서 수집되는 자율주행 관련 데이터 180만건을 공공에 개방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에 따라 누구나 공공데이터포털 및 경기도자율주행센터포털과 경기데이터드림에 접속하면 판교 자율주행 실증단지에서 수집되는 자율주행 관련 데이터를 별도의 데이터 가공 처리 없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차량+라이다-카메라+동기화어노테이션+이미지 [사진=경기도]](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02/45301_45939_2319.jpg)
경기도는 지난 2020년 행정안전부 주관 ‘국가 중점 데이터 개방 지원 사업(3차)’에 6개 주제 영역, 46개 분야 중 자율주행차 데이터, 자율주행 통합관제데이터 분야에 자율주행센터의 판교 자율주행 실증단지가 선정됐고, 지난해 2차년도 사업이 종료되면서 지난 2월 25일부터 경기도 자율주행센터 자율주행 데이터가 개방된다고 설명했다.
국가 중점 데이터 개방사업은 데이터 경제와 디지털 뉴딜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공공데이터 개방사업으로 3차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 중이다.
지난 2월 25일 개방된 데이터 180만건 중 지능형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을 통해 자동으로 추출한 영상 7만2,000건은 사물인식을 가공한 자료로 자율주행 인공지능(AI) 고도화 관련 새싹 기업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판교제로시티 인프라 및 관제센터 데이터를 활용한 도로노면상태, 보행자 케어 서비스 등 약 37만건의 위험 감지 정보 데이터는 자율주행의 안정성을 도모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자율주행셔틀을 활용한 약 135만건의 센서 데이터는 객체인식 및 운행 과정에서의 GPS/INS(위치정보) 데이터를 자율주행 실증 새싹 기업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실제 도로 환경의 자율주행 데이터와 자율협력주행 인프라 데이터가 함께 개방되는 것은 경기도자율주행센터가 처음이다. 이번에 경기도자율주행센터가 제공하는 자율주행 차량-인프라 통합 데이터는 자율주행 학습용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며,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생성, 자율주행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모델링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경기도는 “특히 자율주행차량 기술 개발 기업뿐 아니라 인프라 센서(레이더/라이다/CCTV 등) 개발 기업, 자율주행 통신기기 개발 기업, 자율주행 관제플랫폼 공급기업, 자율주행 실증단지 운영 지자체 등 자율협력주행 산업 전체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김규식 미래성장정책관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자율주행 생태계 조성은 물론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데이터를 생산·개방함으로써 도민의 삶, 더 나아가 전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도, 탄소중립·생산성 향상 방점 찍은 ‘스마트 행복 축산’ 전략 추진
- 경기도, 드론 등 활용한 ‘대기오염물질 배출행위 즉각 대응팀’ 가동
- 경기도, 탄소중립 등 미래전략산업 연구개발에 45억5,000만원 지원
- 경기도, 에너지 분야 융자지원 대상 기업 모집… 최대 2억9,000만원까지
- 경기도 특사경, 건설현장 등 미세먼지 다량 배출사업장 집중 수사
- 경기도, 취약계층 이용시설 300곳에 미세먼지 청정구역 ‘맑은 숨터’ 조성
- 경기도, 5년간 1인 영상 창작자 2,302명 양성
- ‘경기스타트업플랫폼’, 기술분야 스타트업 투자유치 이끌었다
- 지난해 1,437억 최대 매출액 달성한 ‘경기행복샵’, 올해 133개 사 지원
- 경기도와 함께 홈쇼핑 히트상품에 도전하세요!
- 경기도, 중소기업 마케팅 돕는다‥올해 400여개 사 지원
- 경기도교육청, 탄소중립 시범학교 총 54교 선정
- 경기도, ‘도민참여형 에너지자립 선도사업’에 군포시민햇빛발전소 건립 등 15건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