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1위 코발트 정련업체 화유코발트와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JV)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속가능한 ‘자원 선순환(Closed-loop) 체계’ 구축을 위해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폐배터리 등에서 핵심 원재료를 추출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중국 내 최초의 한중 합작 배터리 리사이클 기업이다. 양사는 올해 안에 운영 방안 등 세부 내용을 협의해 합작법인 설립을 최종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합작법인은 배터리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인 스크랩(Scrap)과 수거된 폐배터리 등에서 양극재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리사이클 니켈, 코발트, 리튬을 추출한다. 추출한 메탈은 양극재 생산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난징(南京) 배터리 생산공장에 공급될 예정이다.
스크랩을 처리하고 폐배터리를 가공하는 전처리 공장은 LG에너지솔루션 생산공장이 위치한 중국 장쑤성 난징시에, 재활용 메탈을 처리하는 후처리 공장은 화유코발트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중국 저장성 취저우시에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 권영수 부회장은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배터리 공급망을 위해서는 배터리 전 생애주기를 관리하는 자원 선순환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협력은 배터리 리사이클 역량 확보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의 원재료 공급안정성 및 원가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 ESG 경영 측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화유코발트 천쉐화(陳雪華) 회장은 “이번 MOU 계기로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시장에서 기술 및 자원적 경쟁력을 갖춘 화유코발트와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가장 앞선 경쟁력을 가진 LG에너지솔루션의 협력 관계는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며, “양사는 친환경, 고품질 배터리 생산의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화유코발트는 중국 최대 코발트 생산 업체이다. LG화학과는 2019년 중국 취저우시에 전구체 합작사 및 우시시에 양극재 합작사, 2022년 한국 구미에 양극재 합작사를 각각 설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안정적인 원재료 공급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LG화학과 함께 600억원을 투자해 북미 최대 배터리 재활용 업체 ‘라이-사이클(Li-Cycle)’의 지분 2.6%를 확보해 2023년부터 10년 동안 니켈 2만톤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또한, 세계 최대 리튬 생산업체 중 하나인 칠레 SQM, 독일 벌칸 에너지와 2029년까지 리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2019년에 국내 배터리 업체들 중 최초로 ‘책임 있는 광물 조달 및 공급망 관리 연합(RMI)’에 가입했다.
- LG엔솔, 美 포드사에 배터리 공급량 늘린다… 생산라인 2배 증설
- 재닛 옐런 美 재무부 장관, LG화학 방문... 배터리 소재 공급망 협력 논의
- [B트렌드] 올해 상반기 K-배터리 3사 판매량 합쳐 ‘52GWh’... 중국 CATL만 ‘69GWh’
- [B트렌드] 전기차 배터리 중국에 밀린 K-배터리... 1~5월 점유율 전년 대비 9% 하락
- 한양대, 배터리 전문인력 양성 위해 LG엔솔·SK온과 맞손
- [B트렌드] 전기차 시장 뜨거운 감자 ‘중대형 원통형 배터리’... 경제성 개선에도 집중해야
- LG엔솔, ‘원통형 배터리’ 생산 확대 나서... 오창에 7,300억원 투자
- LG엔솔, 차세대 배터리 원천 기술 확보 박차... 독일 대학과 연구센터 설립
- [B트렌드] 22개월 연속 성장 ‘전기차 배터리’... 갈리는 대응 전략
- 산업부, 니켈 세계 1위 ‘인니’와 배터리 등 그린투자 협력 강화
- LG엔솔, ‘LGES Battery Challenge 2022’ 개최… 스타트업 발굴 나서
- RE100 진심인 LG엔솔, 2025년 전 세계 생산시설 재생e로 운영
- 충남도, 미래 먹거리로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키운다
- 넥세온, 2차 자금 조달 완료… 배터리 소재 제조 위해 약 2억달러 조달
- LG엔솔-현대차그룹, 인니에 배터리셀 합작사 투자금 7.1억달러 확보
- LG엔솔, 혼다와 미국 배터리 공장 건설 맞손… 총 5.1조원 투자
- LG엔솔-연세대, 배터리 분야 산학협력 강화…‘자동차전지 산학기술센터’ 설립
- LG화학-연세대, ‘전지 소재 산학협력센터’ 설립 MOU 체결
- LG화학, IRA 대응 잰걸음… 4조원 투자해 미국 최대 양극재 공장 짓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