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한미 정상회담에 국내 대표 기업 총수 등 15명이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다.
21일 재계 등에 따르면 오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SK그룹) 회장과 류진 한국경제인협회(풍산그룹) 회장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포함됐다.
이들 대부분은 지난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미일 순방 동행 경제단체 및 기업인 간담회에도 참석했다. 여기에 롯데그룹도 동행하기로 했으나 신동빈 회장이 직접 참석할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이번 경제사절단에는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로 대표되는 조선부터 반도체와 원자력 발전 등 한미 양국 협력이 전망되는 분야의 대표 기업이 속해 있다.
이재용 회장은 최근 미국 방문을 전후로 테슬라, 애플과 잇따라 대형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의 증설 계획을 밝힐 가능성이 점쳐진다.
최태원 회장이 이끄는 SK그룹 핵심 계열사인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에 차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을 위한 공장 건설을 준비 중이다.
앞서 정의선 회장은 지난 3월 백악관에서 미국 자동차, 부품 및 물류, 철강, 미래 산업 분야에 2028년까지 총 210억달러(약 29조원)를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구광모 회장 산하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주 랜싱과 애리조나에 단독 공장을, 조지아와 오하이오에서 각각 현대차, 혼다와 합작 공장을 짓고 있다.
김동관 부회장과 정기선 수석부회장은 최근 한미 통상 협상 타결에 결정적 역할을 한 마스가 프로젝트의 주인공이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방미 기간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화 필리조선소를 찾는 만큼, 김 부회장이 현지에서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GS와 두산에너빌리티가 참석한다.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미국의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및 에너지사업과 관련한 활동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GS칼텍스와 GS EPS는 그동안 미국산 원유와 LNG를 구매해왔고, 향후 미국산 LNG 추가 구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원 회장은 두산에너빌리티의 소형모듈원자로(SMR)와 관련한 한미 협력을 논의할 전망이다.
조원태 회장은 대한항공이 미국 보잉과 48조원 규모의 항공기·엔진 도입 계약을 맺는 등 우주항공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서정진 회장은 현지 바이오기업 생산 공장 인수의 후속 조치를 내놓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재현 회장은 미국 식품·콘텐츠 사업 확대 계획이, 최수연 대표는 인공지능(AI) 관련 협력 방안이 관심사다.
최윤범 회장의 경우 미국의 공급망 탈중국화 기조에 맞춰 전략광물 수출 확대 등을 논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 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여한구·김정관, 잇따라 방미해 막판 의제 조율
- 美 백악관, 한미 정상회담 한국시간 26일 새벽 1시 15분 확정
- 트럼프, 한미 정상회담 몇 시간 앞두고 “한국에서 숙청·혁명” 발언 파문
- 한미 정상, 2시간 20분 회담…“북미대화·동맹 현안 포괄 논의”
- 대한항공, 70조원 대미 투자계획 발표…“보잉 항공기 103대‧예비엔진 도입”
- 고려아연, 록히드마틴과 전략적 협력…전략광물 '게르마늄' 공급‧구매 MOU
-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공식화…원전·조선 협력 확대
- 현대차·기아,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위한 ‘NUMA’ 공식 출범
- 롯데, 재팬모빌리티쇼서 '미래 모빌리티' 사업 알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