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 시민이 서울 kt 판매점 앞을 지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9일 한 시민이 서울 kt 판매점 앞을 지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KT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수도권 곳곳에서 잇따라 발생하면서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해커들이 ‘유령 기지국(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세워 개인정보를 탈취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자 정부도 긴급 점검에 돌입하고 통신망 차단 조치를 지시하는 등 발빠른 대처에 나섰다.

10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지난 8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 사실을 신고하면서 피해 지역 일대 가입자 통화 이력에서 미상의 기지국 ID를 발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T가 아닌 제3자가 가상 기지국을 세워 범죄에 활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측은 “KT로부터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원인 중 하나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접속이 확인됐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9일 새벽 1시 KT에 불법 기지국이 통신망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즉각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고, KT는 같은 날 오전 9시부터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전면 제한했다.

다만 KT 측은 “조사 당시 운영 중이던 기지국 중 해커가 개입한 미상의 기지국이나 불법 초소형 기지국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해커가 불법 기지국을 활용했는지 여부와 무단 소액결제가 발생한 구체적 방식을 두고 정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관련 내용을 다른 이동통신사에도 공유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민관 합동조사단을 통해 불법 기지국 외 다른 침해 원인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조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남부경찰청은 이날 기준 KT 소액결제 피해 사례가 총 124건 접수됐고 피해액은 8060만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피해 지역은 경기 광명시가 73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금천구 45건, 경기 부천 6건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피해 접수 건수가 수도권 전역에서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