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최장 열흘에 달하는 2025년 추석 황금연휴를 앞두고 카드사들이 고객 유치를 위한 특화 혜택 경쟁에 본격 돌입했다. 특히 올해는 전통적인 명절 소비 외에도 해외여행 수요와 집콕형 여가, 자기관리 소비, 프리미엄 서비스 수요까지 확대되면서, 카드사별 전략이 뚜렷하게 갈렸다.
◆ 해외여행 수요 잡아라…하나·신한·KB국민
30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하나카드는 해외여행객을 정면으로 겨냥해 환전·결제·인출 수수료 전면 면제 및 현지 적립·할인 혜택을 내세웠다. ‘트래블로그(Travelog)’와 ‘트래블GO’ 카드 이용 시 ▲엔화 무료환전(환율 우대 100%) ▲해외 이용 수수료 면제 ▲일본 ATM 인출 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트래블로그는 세븐뱅크 ATM, 트래블GO는 이온 ATM에서 기기 수수료도 면제된다.
연말까지 트래블로그 결제 시 △돈키호테 2만 머니 적립 △세븐일레븐 50% 할인 △유니클로 10% 할인 혜택이, 트래블GO는 다이소·스타벅스 등에서 쿠폰을 받을 수 있다. 추석 특집 이벤트(~10/15) 기간에는 해외 가맹점 결제 3%(최대 6만원), ATM 인출 2%(최대 4만원)까지 하나머니 적립이 중복 적용되며, 최대 11만원 적립이 가능하다.
성영수 하나카드 사장은 “이번 추석은 최장 열흘에 달하는 황금 연휴로 해외여행을 준비하고 있는 손님들에게 환전, 결제, 인출, 통신, 쇼핑까지 트래블로그가 최고의 혜택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신한카드는 트릿닷컴에서 ‘신한 비자카드’ 이용 시 트립닷컴 숙박·항공 최대 20% 할인, 일본 특화 카드 ‘신한카드 하루’는 ▲해외 결제 2% ▲일본 결제 1.5% 포인트 적립 ▲호시노리조트 최대 30% 할인 ▲3만엔 이상 결제 시 10% 캐시백 혜택을 제공한다.
KB국민카드도 ‘트래블러스 체크카드 홍콩 에디션’을 통해 △오션파크 티켓 할인 △eSIM 무료 △캐세이퍼시픽 항공권 5% 즉시 할인 등 홍콩 특화 혜택을 구성했다.
◆ 전통시장·선물세트 혜택은 KB국민·농협·삼성카드
KB국민카드는 ‘2025 추석 조이풀 페스티벌’을 통해 전통시장·온누리상품권·선물세트에 집중했다. 9월 30일까지 전통시장·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10만원 이상 결제 시 최대 20만원 상당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추첨 제공하며, KB페이 이용 시 추첨 통해 최대 300만원 상당 머니를 증정한다.
선물세트 구매 시 농협하나로마트·이마트·롯데백화점 등에서 최대 50% 즉시 할인 및 최대 150만원 상당 상품권도 제공한다.
농협카드는 디지털 온누리 가맹점에서 1회 이상 결제한 고객 5000명에게 3000원 캐시백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운영 중이다. 지난 6월 출시한 ‘쿵야싱싱체크카드’로 전통시장 결제 시 최대 15% NH포인트 적립도 가능하다.
삼성카드는 이마트, 트레이더스,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와 제휴해 행사 상품 특가와 상품권 증정 이벤트를 운영하고, 롯데·현대백화점에서 식품 선물세트 구매 시 모바일 상품권 또는 H.Point를 제공해 명절 선물 수요를 공략한다.
◆ 집콕형 소비·생활 혜택은 신한카드
신한카드는 긴 연휴를 집에서 보내는 고객을 위한 온라인·생활 밀착형 혜택을 강화했다. 유튜브 프리미엄·넷플릭스·웨이브·멜론 신규 구독 시 최대 6000원 캐시백, 배달앱 ‘땡겨요’ 이용 시 일 5000원 할인 쿠폰이 지급된다.
이외에도 △성형외과·피부과 무이자 할부 △패밀리레스토랑 10만원 이상 결제 시 3000포인트 적립 △전국 테마파크 최대 60% 할인 혜택도 포함된다.
◆ 프리미엄 수요는 우리카드 ‘디오퍼스 실버’
우리카드는 이날 약 6년 만에 프리미엄 브랜드 ‘the OPUS(디오퍼스)’의 신상품 ‘디오퍼스 실버’를 출시했다. 전월 50만원 이상 이용 시 ▲3대 백화점·쿠팡 등에서 2% 적립 ▲국내 LCC·호텔·면세점·골프장에서 3% 적립 ▲모든 가맹점 1% 적립 혜택이 제공된다.
또한 △유튜브·스타벅스·올리브영 10% 할인 △인천공항 주차장 1만원 할인 △국내 특급호텔·공항 발레파킹 무료 △전 세계 공항 라운지 이용 등 프리미엄 서비스를 저렴한 연회비로 제공한다.
특히 △국내 항공·면세점·골프장 할인 바우처 △호텔 외식권 △신세계상품권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고, 이용 기간이 길수록 바우처 혜택도 확대된다. 카드 발급 연도에는 12만원, 이후 매년 13만원 상당의 혜택이 제공된다.
- [현장]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고객 정보 유출…“전액 보상·보안 강화”
- 카드사 올해 상반기 순익 18%↓ …연체율은 10년 반 만에 최고
- 금감원, 카드배송단계부터 원스톱 조회...카드사 사칭 범죄 예방 기대
- 카드업체들, 해외송금 잇단 철수…인뱅과 격차에 ‘백기 투항’
- 카드사 상반기 순익 18% 급감…하반기 '긴축 경영' 불가피
- 후불제 기후동행카드, 사용자 혼란 가중돼…카드사, 안내 미흡도 문제
- 카드사들, 후불제 기후동행카드 잇달아 출시…분실·재발급 시 '환급 혼선'에 소비자 불만 속출
- 삼성카드, JCB 브랜드 삼성카드 4종 출시
- 삼성카드, '번개장터 삼성카드' 출시
- 신한카드, 유니세프와 아동 위한 마음건강 행사 개최
- 3분기 카드 해외사용 59억달러로 사상 최대…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