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박현우 기자] 로봇 솔루션 전문기업 클로봇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최고급 AI 해외인재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미국 카네기멜런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 이하 CMU) 로보틱스학과 소속 오혜진 교수, 성균관대학교가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통해 선정됐으며 총 50억원 규모의 지원금을 확보했다.
클로봇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로봇 자율주행·AI 비전·휴머노이드의 학습 및 제어 등, 로봇이 외부 환경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피지컬 AI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CMU는 AI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자랑한다. 1956년 다트머스 워크숍에서 AI 개념이 처음 논의된 이후, AI 연구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특히, 1979년 세계 최초의 자율주행 차량 '나브랩(Navlab)'을 개발하는 등 로봇 및 자율주행 기술 발전을 선도해 왔다.
현재 CMU의 혁신을 이끌어가는 핵심 인물 중 Robotics Institute 소속의 오혜진 교수는 로봇 자율주행, AI 기반 비전 시스템, 로봇의 인간-환경 상호작용 등 첨단 로봇 AI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으며, 인공지능 관련 최고 학회와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며 학계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또한, 실리콘밸리의 유수 기술 기업들과 활발한 협력을 진행해 온 풍부한 실무 및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이론과 실제를 융합하는 연구를 통해 미래 로봇 AI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클로봇 김창구 대표는 “CMU 및 성균관대학교와의 협력은 단순한 인재 유치를 넘어, 세계 최고 수준의 AI 기술 트렌드를 빠르게 흡수하고, 공동 연구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클로봇, 고려아연에 4족 보행로봇 ‘SPOT’ 공급… “중대재해 사전 차단”
- 클로봇, ‘K-휴머노이드 연합’ 공식 참여… “한국형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 확대 기여”
- 클로봇, 국가 과제 주관 맡아 Physical AI 기술 고도화 본격 추진
- 클로봇–크라우드웍스, 피지컬 AI 로봇 서비스 고도화 위한 데이터 협력 MOU 체결
- 클로봇–씨아이테크, AI 자율주행 로봇 공동개발 MOU 체결
- 클로봇, ‘카멜레온 v3.0’ 공개… “경쟁사 대비 우월한 장애물 회피 능력”
- 클로봇, ‘K-Partners’ 로봇·AI·가상공학 부문 회장사 선정… “협력 생태계 구축 주도”
- 클로봇, 감정 읽고 표현하는 휴머노이드 실증… “사회적 존재로 진화한 모습 제시“
- 클로봇, 3분기 누적 연결 매출 39% 성장… 수익성 회복세 뚜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