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토스증권 리서치센터(센터장 이영곤)는 6일 '다녀왔습니다, 워싱턴 D.C. & 텍사스 – 미국에서 찾은 주목할 산업'을 통해 ‘로봇’, ‘헬스케어’ 그리고 ‘첨단안보’ 분야를 눈여겨볼 것을 제시했다.
이번 리포트는 워싱턴 D.C.와 텍사스 현지 탐방을 통해 확인한 산업 변화와 그에 따른 투자 관점의 핵심 포인트를 담았다.
우선, 자율주행과 로봇이 센서를 통해 환경을 인식하고 인공지능(AI)이 판단과 제어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기술 구조를 공유한다고 지적했다. 자율주행은 결국 로봇 산업의 확장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에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한 테슬라와 엔비디아를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영곤 토스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로봇 산업은 성장 잠재력이 크고, 특히 선두 기업들은 기업가치 확대가 기대되는 만큼 투자 매력이 높다”고 했다.
또, 트럼프 행정부가 AI나 반도체 못지않게 패권 경쟁의 핵심으로 보고 있는 분야로 헬스케어를 꼽았다. 그러면서 미국 내 생산설비를 갖춘 ▷제약·바이오 기업(화이자, 일라이릴리 등)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중심 보험사(유나이티드헬스, 휴매나 등) ▲효율형 병원 체인 ▲AI 의료기기 및 자동화 기업이 정책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미국에서 안보의 개념이 전통적 방산을 넘어 기술·공급망·데이터·사이버 영역까지 확장된 ‘첨단안보’로 진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첨단안보 분야로 분류되는 안보, 우주, 사이버보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를 소개하며 단일 산업에 집중하기보다 ETF에 투자하는 전략이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영곤 센터장은 “지금 미국은 산업의 축이 이동하는 구조적 전환의 국면에 접어들었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기회와 리스크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며 “이 전환 속에서 미국 산업의 방향을 얼마나 깊이 이해하고 해석하느냐가 앞으로의 투자 판단을 좌우할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