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홍윤기 기자]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이자·수수료로 올해 3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동시에 부실 대출규모도 크게 늘면서 건전성 역대 최악 수준을 기록했다.
수년간 지속된 저성장·고금리 환경으로 인한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취약차주(대출자)들이 원리금 미상환이 원인으로 거론된다.
NPL커버리지비율 123.1%…1년새 18.5%p 급락
10일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에 따르면 3분기 말(9월 말) 기준 4대금융 합산 요주의여신(연체 1∼3개월) 규모 18조3490억원으로 집계됐다.
우리금융지주 출범으로 4대 금융지주 합산 통계가 시작된 지난 2019년 1분기 이후 최대다.
부실 정도가 더 심각한 단계인 고정이하여신(NPL·연체 3개월 이상)도 9조2682억원을 기록했다. 역대 최대 규모였던 지난 2분기 9조3042억원보다는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큰 규모다.
이에 따라 전체 대출 중 NPL 비율(단순평균·0.72%) 역시 최고 기록인 올해 1분기 말(0.74%)이나 2분기 말(0.74%)과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부실 감당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NPL커버리지비율(대손충당금 잔액 /고정이하여신) 4대 금융지주 평균 123.1%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141.6%과 비교해 1년 사이 18.5%포인트(p)나 급락했다.
4대금융지주 3분기까지 역대 최대인 5조6000억원 충당금 적립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도 최대
4대 금융지주가 막대한 충당금을 적립하고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등 나름의 노력을 이어왔음에도 건전성이 악화됐다는 점이 우려를 더 증폭시키고 있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4대 금융지주의 충당금 적립규모는 총 5조6296억원, 같은 기간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부실 채권 상·매각 규모는 4조6461억원 규모로 모두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늦춰진 금리 인하 영향에 관세·환율 등 불확실성까지…향후 전망 엇갈려
금융권에서는 금융지주들의 부실 확대의 원인으로 수년간 이어진 한국 경제의 저조한 성장과 높은 금리 등을 꼽았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지만 양극화로 모든 경제 주체들이 체감하기 어려운 데다 환율 등 경제 불확실성도 커 자영업자나 중소기업 등 취약계층은 여전히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부동산·가계부채 관리 등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가 지연되면서 시장금리 인하 속도도 예상보다 느린 점도 채무자의 이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전망은 엇갈리는 상황이다. 최근 증시 활황과 소비 쿠폰 등 경기부양책의 영향으로 경기가 더 살아나면 금융권 여신 건전성도 회복될 것이라는 긍정적 관측도 나오지만 당분간 경제 성장률이 잠재 수준(약 2%)을 하회할 가능성이 큰 만큼 뚜렷한 한계 차주 감소나 금융권 자산 건전성 개선이 나타나기 어렵다는 우려도 있다.
다른 금융지주 관계자는 "부실 우려 자산과 관련해 추가 대손충당금을 적립하고, 적극적 상·매각을 통한 NPL 감축을 시도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