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ATM기기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시중은행 ATM기기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홍윤기 기자]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이자·수수료로 올해 3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동시에 부실 대출규모도 크게 늘면서 건전성 역대 최악 수준을 기록했다.

수년간 지속된 저성장·고금리 환경으로 인한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취약차주(대출자)들이 원리금 미상환이 원인으로 거론된다.

NPL커버리지비율 123.1%…1년새 18.5%p 급락

10일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에 따르면 3분기 말(9월 말) 기준 4대금융 합산 요주의여신(연체 1∼3개월) 규모 18조3490억원으로 집계됐다.

우리금융지주 출범으로 4대 금융지주 합산 통계가 시작된 지난 2019년 1분기 이후 최대다.

부실 정도가 더 심각한 단계인 고정이하여신(NPL·연체 3개월 이상)도 9조2682억원을 기록했다. 역대 최대 규모였던 지난 2분기 9조3042억원보다는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큰 규모다.

이에 따라 전체 대출 중 NPL 비율(단순평균·0.72%) 역시 최고 기록인 올해 1분기 말(0.74%)이나 2분기 말(0.74%)과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부실 감당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NPL커버리지비율(대손충당금 잔액 /고정이하여신) 4대 금융지주 평균 123.1%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141.6%과 비교해 1년 사이 18.5%포인트(p)나 급락했다.

4대금융지주 3분기까지 역대 최대인 5조6000억원 충당금 적립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도 최대

4대 금융지주가 막대한 충당금을 적립하고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등 나름의 노력을 이어왔음에도 건전성이 악화됐다는 점이 우려를 더 증폭시키고 있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4대 금융지주의 충당금 적립규모는 총 5조6296억원, 같은 기간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부실 채권 상·매각 규모는 4조6461억원 규모로 모두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늦춰진 금리 인하 영향에 관세·환율 등 불확실성까지…향후 전망 엇갈려

금융권에서는 금융지주들의 부실 확대의 원인으로 수년간 이어진 한국 경제의 저조한 성장과 높은 금리 등을 꼽았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지만 양극화로 모든 경제 주체들이 체감하기 어려운 데다 환율 등 경제 불확실성도 커 자영업자나 중소기업 등 취약계층은 여전히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부동산·가계부채 관리 등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가 지연되면서 시장금리 인하 속도도 예상보다 느린 점도 채무자의 이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전망은 엇갈리는 상황이다. 최근 증시 활황과 소비 쿠폰 등 경기부양책의 영향으로 경기가 더 살아나면 금융권 여신 건전성도 회복될 것이라는 긍정적 관측도 나오지만 당분간 경제 성장률이 잠재 수준(약 2%)을 하회할 가능성이 큰 만큼 뚜렷한 한계 차주 감소나 금융권 자산 건전성 개선이 나타나기 어렵다는 우려도 있다.

다른 금융지주 관계자는 "부실 우려 자산과 관련해 추가 대손충당금을 적립하고, 적극적 상·매각을 통한 NPL 감축을 시도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