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홍윤기 기자] KB·신한·우리·하나 등 국내 4대 금융지주의 합산 시가총액이 올해 들어 34조원 넘게 늘면서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며 4대 금융지주 합산 시가총액은 지난 2일 기준 123조1675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첫 개장일인 지난 1월 2일 기준 합산 시가총액 89조16억원 대비 34조1659억원, 38.38% 올랐다.
금융지주들이 지난해 역대급 실적에 더해 강력한 주주환원 정책까지 내놓으면서 투자 심리를 끌어들인 결과로 풀이된다.
금융지주별로 살펴보면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시가총액이 큰 KB금융이 올해초 32조8202억원에서 이달 2일 44조5547억원으로 12조원 가까이 늘면서 35.75% 올랐다. 단순 증가액에서는 4대 지주 가운데 최대다
KB금융지주는 이같은 주가 상승에 힘입어 현재 시가총액 8위(삼성전자 우선주 제외)로 금융주 가운데서는 흔치 않게 시총 상위 10위권안에 자리잡고 있다.
KB금융 다음으로 시총 규모가 큰 신한지주의 경우 같은 기간 28조5120억원에서 34조6643억원으로 6조1523억원 증가했다.
한편 3·4위 금융지주인 하나·우리금융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시총 4위우리금융은 올해초 11조3542억원이던 시총이 19조3445억원으로 늘어나면서 무려 70.37%의 급등했다.
3위 하나금융 역시 같은기간 16조3152억원에서 24조6040억원으로 50.80%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하지만 최근 정부가 역대급 호실적을 거둔 금융권에 연일 상생금융을 강조하며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면서 금융지주 실적과 주가 상승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지난 8월 기획재정부는 국무회의서 교육세법을 포함한 13개 세법안을 개정하면서 수익 1조원을 초과하는 금융사들의 교육세율을 기존 0.5%의 두배인 1%로 상향조정했다.
이에 대해 은행연합회·여신금융협회·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 등은 공식 의견서를 제출하며 교육세 인상에 반대하는 등 거세게 반발했으나 결국 세법개정안은 국무회의 확정을 거쳐 국회에 제출됐다.
최근에는 정부가 장기연체자 구제를 위해 총 16조4000억원 규모의 채권이 소각 또는 채무조정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금융권에 기여금 4400억원을 부담하도록 결정했다.
하지만 이 같은 금융권의 가중되는 세금 및 정책 자금 부담에도 주가는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것이 증권가의 대체적 분석이다 .
정준섭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연말로 갈수록 금융주 주가는 다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코스피 내 대표적인 저평가 업종이자 강력한 주주환원 정책을 내세운 금융주는 결국 정부 증시 부양의 수혜 업종이 될 수 있다”고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