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기술력‧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에너지신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에너지혁신기업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지난 22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제4회 에너지혁신기업 연대·협력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산업부 박기영 2차관은 “에너지신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에너지혁신기업 46개사가 모여 설립한 ‘한국에너지중소혁신기업협회(협회장 김구환)’ 출범을 축하한다”고 인사말을 건네며, 참가자들과 함께 에너지신산업 및 에너지혁신기업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진 본 포럼에서는 △에너지혁신기업 실태조사 결과 △협회 설립 개요 및 운영방향 △에너지혁신기업 우수사례 발표가 진행됐다. 에너지혁신기업은 2020년 기준 2,523개사가 발굴됐으며, 매출액 10억 이상~50억 미만인 기업이 약 33%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기업 운영에서 자금부족, 시장 불확실성, 고급인력 유치 어려움 등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한국에너지중소혁신기업협회 김구환 협회장(그리드위즈 대표)은 “협회 설립 목표는 ‘에너지 혁신기업 간 협력을 토대로 에너지 중소혁신기업 육성과 에너지혁신 신기술 개발을 위한 산업 생태계 구축과 에너지산업 발전 도모”라고 언급하며, 이에 따른 운영방향을 설명했다.
또한, 협회 회원사인 케빈랩, 에이투엠, 마이브 3개사는 에너지신산업 융복합 사업화 우수사례를 소개했다.
박기영 2차관은 축사를 통해 “에너지혁신기업이 탄소중립 실현의 주역”이라며, “정부는 관계부처, 에너지공기업, 연구기관, 금융기관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2022년 상반기 경 ‘에너지혁신 벤처 육성방안’을 발표하고, 에너지혁신기업이 에너지신산업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투자유치설명회에는 기업성장 단계에 맞춘 다양한 투자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에너지혁신기업 7개사가 참석했으며, 이어서 진행된 투자심사역과의 1:1투자유치상담회에는 13개사가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정부는 투자설명회, 에너지기술 평가체계 구축 등을 통해 에너지혁신기업과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투자계기를 지속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 신재생에너지 전기설비... ‘맞춤형’ 안전관리 제도 개편
- 산업부, 제조 산업현장의 AI 융합형 기술인재 키운다… 2022년 2,500명 양성
- 분산에너지 기틀 잡나?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 마련
- 기술혁신형 에너지 강소기업 찾는다… 육성사업 신규과제 공고
- 정부, 미래 신산업 선도할 혁신인재 육성한다
- 산업부, 스페인‧노르웨이‧체코와의 에너지 공동 연구에 48억원 투입
- 에너지 소비, 연평균 1.7% 증가했다… ‘2020년 에너지총조사’ 발표
- 수도권 상경계 교수들, 새 정부가 유념할 한국 경제 3대 리스크 꼽아
- 전경련, “미중일 교역 중 핵심 수입품목 75.5% 중국산”
- 2025년까지 에너지 전문인력 8,000명 양성한다… 7년간 약 550억원 지원
- 전경련, “태양광·풍력 각 밸류체인별 중국 독점화…국내 경쟁력 확보 시급”
- OECD국 경제계, 경영환경 전망 ‘좋음’ 응답률 전년 60%→10%로 감소, 투자 기대감도 낮아져
- 세계 100대 ICT기업, 美 56개 中9개 日8개…韓, 단 2개사 그쳐
- 제이엔텍, 세균‧바이러스 99.9% 살균하는 UV-C LED로 최고의 공기질 수질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