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한국동서발전(사장 김영문)이 건축물 유리창으로 쓰일 투명·컬러 태양광 모듈 양산 기술개발에 나선다.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이후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건물일체형태양광(BIPV) 시장의 활성화를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동서발전은 지난 7일 오후 4시 울산 중구에 위치한 동서발전 본사에서 고려대학교·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LNS이노베이션과 건물 유리창을 통해 건축물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건축물 및 영농형 고기능성 태양광 모듈 양산화 기술개발’ 착수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광투과도 50%와 모듈면적 1㎡당 90W의 출력을 낼 수 있는 투명·컬러 태양광 모듈 양산화 기술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또한, 도로 방음벽 등 태양광 모듈 설치가 어려운 장소에 차세대 친환경 태양광 신기술을 적용해 부지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기능이 좋은 태양광 모듈을 대량 생산해 공동 사업화할 계획이다.
고기능성 태양광 기술개발의 연구책임자인 고려대 에너지환경대학원 강윤묵 교수는 지난해 12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산업 난제 해결을 위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중 하나인 ‘확장이 용이한 투명태양전지 플랫폼 개발’ 과제에 참여해 관련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동서발전 김태원 미래기술융합원장은 “전세계적으로 BIPV 시장규모는 2021년 1.6GW에서 2026년 5.6GW로 3배 이상 확대될 전망”이라며, “국내에도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이 확대될 경우 시장규모는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태양광사업 발전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동서발전은 지역대학인 유니스트, 울산대와 협력해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1월부터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노면블록형 태양광 상용화 연구개발을 진행해 지난 10월 태화강 국가정원 만남의 광장에 가로 9.6m, 세로 5.2m의 노면블록형 태양광 발전설비를 준공해 울산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 동서발전, 해외에 K-영농형태양광 알린다… 국내 기업과 공동개발 추진
- 동서발전, 중소기업 에너지효율화 지원 업무협약 체결
- ‘제4회 재생에너지의 날’ 기념식 개최… “RE100 코리아 위한 10대 제안”
- 동서발전, 울산 강남초에 4.8kW급 태양광 쉼터 설치
- “채식으로 지구를 지켜요” 동서발전, ‘탄소중립 체험교실’ 진행
- 동서발전, 올겨울 에너지사용량 10% 절감한다
- 동서발전, 태양광으로 의료복지 실현한다
- 동서발전,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기업 EDPR과 국내외 신재생사업 협력
- 한화큐셀, 도로와 철도 활용한 태양광 보급 확산 위해 동서발전과 ‘맞손’
- 동서발전, 영농형태양광 컨퍼런스 개최… ‘1GW 보급’ 위한 발전방향 모색
- 동서발전, 연료전환 국내 1호 음성천연가스발전소 착공
- 두루마리 벽지처럼 연속 생산 가능한 태양전지 나온다… 벤처기업 ‘메타솔’, 개발 성공
- 동서발전, CCUS 기술‧청정수소 공급사업 선도한다
- 동서발전, 해외 그린수소 개발사업 본격화
- 동서발전, 울산 남목노인복지관에 ‘시니어 스마트센터 4호점’ 구축
- 동서발전, 정수장치 보급으로 개발도상국 등 해외 온실가스 감축한다
- 동서발전, 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 본격 추진…무동력 중력식 정수장치 공급
- 주민참여형 이익공유 모델 선보인 동서발전, ‘ESG경영 리더기업’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