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조창현 기자] 급변하는 글로벌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엔지니어링 산업에 대한 혁신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민관합동 정책포럼이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이승렬 산업정책실장과 한국엔지니어링협회(이하 엔지니어링협회) 이해경 회장, 엔지니어링업계 대표 등 주요 인사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무역협회에서 ‘K-엔지니어링 100년 포럼(이하 100년포럼) 발대식’을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포럼에서는 ‘AI시대, 엔지니어링의 미래를 말하다’라는 주제 아래 엔지니어링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 방안과 AI 기반 엔지니어링 설계 혁신 사례 등을 발표했다. 발표에 나선 현대엔지니어링과 도화엔지니어링은 △AI 기반 자동화 설계 시스템 △설계 데이터 자산화를 통한 기존 업무방식 혁신 △공기 단축 △비용 절감 등 효율화 사례를 소개했으며, 향후 AI 같은 신기술을 활용한 ‘설계 완전 자동화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엔지니어링협회 이해경 회장은 디지털 전환을 위한 엔지니어링업계 차원 노력을 강조했다. 이해경 회장은 “협회 창립 5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에 출범하는 100년포럼을 통해 엔지니어링산업에 대한 발전 기반을 마련하고, 새롭게 다가올 미래 50년을 대비하자”고 말했다.
또 산업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AI·가상현실 등 첨단 ICT 신기술을 접목한 디지털화, 친환경 플랜트 확산 등으로 인해 글로벌 시장 경쟁 구도가 변화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우리 기업들이 갖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지원을 약속했다.
산업부는 100년포럼을 시작으로 엔지니어링 관련 협·단체와 함께 매 분기 정기적인 포럼 개최를 통해 △엔지니어링 계약제도 및 사업발주 관련 규제 혁신 △해외 프로젝트 수주지원 확대 △친환경·디지털 엔지니어링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책개발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 산업부, AI 기반 공정 혁신 및 생산성 제고 위한 ‘산업 대전환’ 착수
- 산업부, 기계·로봇 등 국가핵심기술 총 31개 개정 추진
- 산업부 ‘HVDC 기술·산업 포럼 킥오프 회의’ 개최… CBAM 대응
- 산업부, CFE 원탁회의 참여… IEA 등에 ‘국제 인증체계’ 구축 제안
- 2024년 10대 제조업 국내 투자 계획 110조원, 작년보다 10% 증가
- 산업부, 2030 자문단 공식 출범… “청년 목소리 존중”
- 산업부, 반월·시화산단서 ‘수출 애로 해소 위한 간담회’ 진행
- 산업부, 분산에너지 산업 분야 본격 지원 나서
- 산업부 “태양광 모듈 이력 관리 필요성 증가… 건식공정 핵심 소재 개발”
- 산업부 강경성 제1차관, 경북 포항 이차전지 특구 방문
- 산업부, 항공우주 제조공정 고도화 기술개발 신규 추진…로봇·AI 등 과제 선정
- 산업부, 수출바우처 지원 확대·강화한다… “단계별 해외 마케팅 지원 위한 핵심 사업”
- 산업부, 수출·투자 확대로 경제성장 강드라이브… 수출 7,000억 달러 달성 강조
- 올해 1분기 제조업 투자, 지난해보다 99.2% 증가했다
- 산업부, 뿌리산업에 대한 지속가능한 성장 생태계 조성에 앞장
- 정부, 반도체 전문가들과 ‘AI-반도체 이니셔티브’ 논의… “AI, 경제성장 좌우하는 핵심 동력”
- 산업부, 업계 지원 위해 전 직원 합심… 올해 1분기에 현장 애로 및 건의 37건 해결
- 산업부, 제4차 수출지역 담당관 회의 개최… “7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 이어질 것”
- 산업부, 지속가능한 성장 위한 협력 방안 논의 위해 OECD 각료이사회 참석
- “미국이 100일 때, 우리는 80”… 차세대 성장동력 ‘AI 반도체’, 경쟁력 강화 위한 지원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