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형우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019년 상반기까지 1.6GW(잠정)의 재생에너지설비가 신규로 설치되어 2019년도 목표(2.4GW)의 66.4%를 보급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태양광과 풍력의 설치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태양광 49.4% 증가, 풍력 84.4% 증가)하고 상반기 전체 보급의 92.6%를 차지하는 등 태양광과 풍력이 2019년도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바이오에너지와 폐기물 에너지는 2018년 실시한 REC 가중치 축소의 영향으로 신규 설치 규모가 각각 94MW(85.4%) 및 21MW(36.9%)로 전년 동기 대비 대폭 감소했다.
한편 2019년 상반기 태양광 모듈의 국산제품 사용 비율(사업용)은 2018년 상반기(61.5%)는 물론 2018년 전체(72.5%)에 비해서도 크게 높아져 79.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력 터빈의 경우에는 국산제품 사용 비율이 2018년 부진(39.2%)했던 상황에서 다소 개선되어 59.8%로 높아졌다.
신재생에너지협회는 태양광·풍력이 중심이 된 2019년 상반기 재생에너지 보급 실적은 정부가 발표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이 시장에 긍정적 신호로 작동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으며 정부가 향후에도 재생에너지 업계에 대한 지원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달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탄소인증제 도입, REC 거래시장 경쟁입찰 확대 등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충실히 이행하여 우리 업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 RE 100 도입을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이 시작됐다
- 프로스트앤설리번, 신재생에너지 비용지출 늘려 마이크로그리드 시장 확대 예상
- 한국동서발전, 중소기업과 중동에 4차산업기술 전파한다
- 해줌, 농촌 태양광으로 경남 진주 버섯재배사 태양광 준공
- [칼럼] 2019년 국내 태양광 REC 가격 현황과 전망
- 산업부, ‘풍수해 대비’ 여름철 에너지 시설 안전관리 현황 점검
- 행복청, 세종시 행복도시 태양광 발전설비 제안공모 공고
- 잘 나가고 있는 ‘태양광·풍력’ 안정화 위한 대응 전략
- 한국남부발전, 강원지역 축제 연계 풍력발전단지 대국민 개방
- 올해 태양광 보급목표 1.63GW 7월말 달성… 그러나 숙제가 남았다
- [칼럼] 태양광발전 관련 최근 주요 정책분석과 대응방안
- 산업부, 태양광 모듈 탄소인증제 본격화 시동 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