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한국동서발전(사장 박일준)이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발전설비 감시진단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동서발전은 9월 10일 발전기술개발원에서 ‘EWP 자가무선망 및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한 발전설비 감시진단 기술’ 연구과제의 최종 발표회를 개최하고, 기술개발에 성공했음을 밝혔다.
이번 연구개발은 발전분야에 4차 산업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디지털 발전소 구축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2017년 10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총 33개월 동안 진행됐다. 동서발전은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일반 상용 IoT망이 아닌 동서발전 자가 무선망(DMR망) 및 LoRa 중계 장치를 이용해 사물인터넷 통신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했다.
![동서발전은 9월 10일, 동서발전 발전기술개발원에서 ‘EWP 자가무선망 및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한 발전설비 감시진단 기술’ 연구과제의 최종 발표회를 진행했다. [사진=한국동서발전]](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009/39488_36155_141.jpg)
사물인터넷 통신 인프라 구축에 이용된 DMR(Digital Mobile Radio)망은 재난 및 안전사고 발생 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구축한 동서발전 사내 무전기용 통신망이다. LoRa(Long Range Wide Network)는 저전력, 장거리(약 10km), 다중센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사물인터넷 통신기술이다.
이와 함께 동서발전은 태양광 및 발전설비의 진동으로부터 에너지를 자체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개발해 진동, 온도, 가스 등 발전설비의 운전 상태를 감시 및 진단하는 무선 IoT 센서에 적용했다. 무선 IoT 센서는 주기적으로 전원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지만, 동서발전은 자체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활용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했다.
동서발전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해 발전 설비의 감시, 진단 범위를 확대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설비 운영 △설비 점검 시간 단축 △안전사고 예방 및 재난 대비를 강화하게 됐다.
동서발전 관계자는 “이번 연구개발은 기존 무선 IoT의 한계를 개선한 원천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발전설비 감시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디지털 발전소를 구축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중소기업, 연구기관 등과 활발한 교류를 통해 발전분야 4차 산업을 주도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동서발전, 생산량 높인 차세대 영농형태양광 실증 성공
- 동서발전, 전기화물차 추가 구입으로 친환경 보유비율 50% 달성
- 동서발전, 광섬유 기반 전류측정시스템 국산화 추진한다
- 동서발전, 공공기관 최초 비대면 고교학점제 교과목 개설
- 동서발전, 발전산업 디지털화 선도로 ‘한국판 뉴딜’ 추진 지원
- 동서발전, ‘친영농형태양광 수확 농작물’ 지역 취약계층에 전달
- 동서발전 ‘그린에너지 사업’, 공공기관 주도 우수 협업사례로 꼽혀
- 동서발전, 포스트코로나 대비해 ‘디지택트 업무전환’ 추진한다
- 동서발전, 키나바와 ‘유기성폐자원 바이오연료 사업화 협약’ 체결
- 동서발전, 저탄장 자연발화 사전 감시기술 개발
- 동서발전, 포항에 ‘생활SOC 연료전지 발전사업’ 추진
- 동서발전, 블록체인 기술로 설비 품질보증체계 강화
- 동서발전, 지역 취약계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 앞장
- 동서발전, 중기중앙회와 중소기업 지원 나선다
- 동서발전 사내벤처, 연이은 대외기관 수상으로 역량 인정받아
- 동서발전, ‘청렴에너지’ 전파 위한 비대면 ‘윤리문화제’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