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삼성중공업이 글로벌 해상풍력발전 시장 성장세에 맞춰 친환경 기술이 집약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이하 'WTIV') 독자 모델을 개발하며 본격 시장 공략에 나섰다.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는 신재생 에너지 정책 확대에 따라 WTIV 발주가 2020년 16척에서 2023년 23척까지 44%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WTIV [사진=utoimag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4/41985_40438_3142.jpg)
이 가운데 삼성중공업이 세계 3대 선급인 ABS(美), DNV(노르웨이), LR(英)로부터 '저탄소 배출 WTIV(모델명 SLW-FUEL CELL)' 개념 설계에 대한 기본 인증(Approval in Principle)을 획득했다고 4월 8일 밝혀 관심이 집중된다. 기본 인증을 동시에 획득한 조선소는 삼성중공업이 업계 최초이다.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WTIV는 LNG 사용이 가능한 듀얼 엔진,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친환경 기술이 모두 집약돼 기존 디젤 엔진 선박 대비 CO2 배출을 최대 50% 줄일 수 있다. 전력사용 효율이 높아 선박 운항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WTIV 설계기술을 독점한 해외 엔지니어링사의 의존도를 낮춰 기술료 지급, 장비 선정 제약 등으로 비용 절감도 기대된다.
이를 위해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12월 효성중공업과 손잡고 WTIV 핵심 장비인 잭킹 시스템(Jacking system) 국산화 공동 기술 개발에 착수한 바 있다. 잭킹 시스템은 중량 4만톤 이상의 WTIV를 해수면으로부터 공중에 부양시켜 최대 2,500톤의 크레인 하중을 견디게 하는 고난도 기계 기술로 알려졌다.
이왕근 삼성중공업 해양사업담당은 "그린 뉴딜 정책의 핵심 축 중 하나인 풍력 발전시장의 성장으로 WTIV 수요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첨단 친환경 기술이 집약된 독자 모델을 확보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중공업은 2010년 국내 조선사로서는 최초로 WTIV를 수주해 현재까지 총 3척을 성공적으로 인도한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있다.
- 슈나이더일렉트릭-삼성중공업, 스마트 IoT 모터보호계전기로 선박 예지보전 구현
- IDG, 조선업체 디지털전환 ‘삼성중공업’ 엄지척
- 삼성중공업, DNV GL 선급과 대형 해상풍력 부유체 개발 나선다
- 삼성중공업, LNG 냉열발전-재기화 시스템 실증 성공… FSRU 시장 공략 포석 마련
- 우리 바다 여건에 맞춘 해상풍력발전기 안전진단 기술 개발
- 美, 흔들리는 해상서 풍력터빈 설치 생산성 높일 솔루션 ‘등판’
- 문 대통령 “2030년 해상풍력 5대 강국 다가설 것”
- 日 해상풍력 붐에 선사들 기회 포착 안간힘
- 삼성중공업, 세계 유일 조선·해양 LNG 통합 실증 설비 완공
- 삼성중공업, 엔진 없는 연료전지 추진 LNG선 개발… 상용 표준화에 박차
- 삼성중공업, 9.5MW급 대형 부유식 해상풍력 독자모델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