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로 물을 분해해 만들어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그린수소 생산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우리나라가 주도한다.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은 수소기술 국제표준화회의를 7월 29일 개최하고 우리나라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한 ‘재생에너지 이용 수전해 설비의 안전 요구사항과 시험방법’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하는 작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제안한 국제표준은 그린수소 생산 시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변동성에 따른 불안정한 전기 생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전해 설비의 수소 생산성 저하, 분리막 성능 저하 등을 방지하는 표준이다. ‘수전해 설비의 안전성 요구사항과 성능평가’를 규정하고 있어, 선진국의 관련 전문가로부터도 안전한 수소 생산을 보증할 수 있는 그린수소 생산기술의 핵심 표준으로 평가 받고 있다.
최근 미국, 영국, 독일 등 세계 선도 국가들이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한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탄소배출 없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 즉 그린수소 기술 개발과 실증사업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제표준화기구도 수전해 기술 분야의 국제표준화 논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9년 4월 수립한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에 따라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수전해 설비의 안전 요구사항과 시험방법’을 선제적으로 개발했다. 2020년 12월에는 신규 국제표준안 제안을 통해 그린수소 기술의 국제표준 선점 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 표준안은 지난 5월 국제표준화기구 수소 기술위원회의 투표에서 수소기술분야 경쟁 국가의 반대 없이 신규작업과제(NP)로 채택됐다. 신규작업과제(NP)는 국제표준 제정 절차의 첫 단계로 기술위원회 투표 결과 정회원국 2/3이상이 찬성하고, 5개국 이상이 표준개발 작업에 참여하는 등의 2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채택된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중국 등 12개 주요 국가는 국제표준화 작업에 참여 대표단을 지정하는 등 높은 관심을 표명했다.
이날 국제표준화회의 참가자들은 재생에너지와 연계시 수전해 설비의 운전범위, 분리막 성능 평가방법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했으며, 2023년 12월 국제표준 제정을 최종 목표로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포항공대 최재우 교수가 프로젝트팀 의장을 맡아 국제표준 제정을 주도하며, 가스안전공사, 에너지기술연구원 등 산학연 전문가가 협력한다.
국가기술표준원 이상훈 원장은 “우리나라가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수소 생산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선도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연계 수전해 설비의 안전성을 제고하고 우리 수전해 기술에 대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수소경제를 활성화하고 탄소중립 실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국내 다양한 수소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산업표준화법 시행령 개정, 농업‧신산업‧융복합 분야 KS 표준 전문화된다
- 산업부 ‘전기전자 탄소중립위원회’, “AI·데이터 활용으로 타 제조업종 공정효율 개선, 저손실 전력망 구축해야”
- 산업부-포스코 그룹, 중소기업에 친환경‧스마트화 기술공개… 총 588건 무상이전 추진
- 산업부, 수요반응(DR)으로 여름철 대비… 스마트 전력수요관리 논의
- 산업부 문승욱 장관, “중소기업 ESG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노력할 것”
- 산업부-중기부, 산업대전환 중소·중견기업 지원 맞손… 디지털 전환·탄소중립 등 산업현장 혁신
- 산업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 추진
- 비효율적으로 인증시간·비용 들었던 ‘인증셔틀’ 사라진다
- 에너지시스템 혁신 가속화한다… 산업부, 에너지 차관 신설
- 신축 5% 구축 2%, 내년부터 아파트 전기차충전기 의무설치
- 산업부, 수소·연료전지 핵심기술 확보한다
- 정부,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세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