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300대 기업, 올해 ESG 사업 더 키운다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2.02.08 13: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련 설문, 올해 환경(E) 부문 가장 중요…탄소감축(37%), 신재생에너지(23%) 등 최우선 과제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매출액 300대 기업이 올해 ESG 사업예산과 인력을 더 늘릴 전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가 2월 8일 발표한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86개 사 응답)한 결과 응답기업의 81.4%가 작년 대비 올해 ESG 사업규모(예산 및 인력기준)를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매출액 300대 기업 81%가 올해 ESG 사업예산과 인력을 더 늘릴 전망이다. [사진=utoimage]
매출액 300대 기업이 올해 ESG 사업예산과 인력을 더 늘릴 전망이다. [사진=utoimage]

응답기업의 18.6%는 ESG 사업규모를 전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 답변했고, ESG 사업규모를 줄이겠다는 기업은 없었다.

ESG 위원회 설치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88.4%가 설치(64%)했거나 설치할 예정(24.4%)이라고 답했다. 또한, 응답기업의 82.6%는 ESG 전담부서를 이미 운영하고 있거나(71.0%) 설치예정(11.6%)이라고 응답했다.

ESG 전담부서 구성원의 업무 경력 기간이 5년 이하인 기업의 비중이 93.3%에 달해 국내 기업들이 ESG 경험이 풍부한 전문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한 ESG 경영 애로요인으로는 ‘ESG에 대한 전문성 부족’(37.6%)과 ‘전문인력 미비’(10.8%)가 48.4%였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지난해 말부터 삼성, 현대차, SK, LG 등 주요 그룹에서는 ESG 전략·공시, 환경 분야 전문인력 채용이 이어지고 있다.

2022 ESG 사업규모 증감계획(전년比)(왼쪽) ESG 전담부서 구성원 ESG 업무 경력 [자료=전경련]
2022 ESG 사업규모 증감계획(전년比)(왼쪽) ESG 전담부서 구성원 ESG 업무 경력 [자료=전경련]

올해 환경(E)이 가장 중요, 탄소저감, 신재생에너지 활용이 최우선 과제

주요 기업들은 ESG 중 환경(67.4%)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18.6%), 지배구조(14.0%)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환경분야 최우선 과제로 탄소배출량 감축(37.1%), 신재생에너지 활용(23.0%), 친환경 기술개발(13.5%) 등을 꼽았다. 실제로 이와 관련해 최근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계획 발표도 이어지고 있다. 현대제철은 4,400억 원 규모 친환경 설비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한화건설은 2030년까지 2GW 규모 이상의 풍력사업 개발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사회(S) 분야 키워드는 안전・보건, 공급망 ESG 리스크 꼽아

사회 분야 우선과제는 사업장 안전 ·보건 관리(35.6%),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22.0%), 인권경영(12.7%), 노사관계(8.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들은 안전 분야 시스템 확충을 위해 노력 중이다. 롯데케미칼은 안전·환경 부문에 내년까지 총 5,000억 원을 투자해 집중관리에 나선다.

LG 화학은 전세계 사업장을 대상으로 환경・안전 분야 관리체계를 글로벌 스탠다드로 맞추는 매그놀리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에도 적극적이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도 협력사에 ESG 컨설팅 등 ESG 리스크 관리 지원을 실행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82.6%가 이미 시행하고 있거나(40.7%), 시행할 예정(41.9%)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에 대기업이 적극 나서다가 자칫 갑질논란에 휘말릴 수 있어 조심스럽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주요 기업의 환경·사회 분야 사업 및 투자 계획  [자료=전경련]
주요 기업의 환경·사회 분야 사업 및 투자 계획 [자료=전경련]

전경련은 또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사회 이슈에 대한 ESG 담당자들의 인식을 조사했다. 주주대표소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지나친 개입으로 기업경영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란 응답이 58.1%로 ‘통상적인 주주권 행사’란 응답(24.4%)의 두 배가 넘었다. 노동이사제 확산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는 ‘도입반대’(46.5%) 또는 ‘시기상조’(33.7%)란 응답이 80.2%에 달했다.

늘어나는 ESG 정보 공시 대비해 기업 공시역량 지원 강화 필요

ESG 관련 비재무정보 공시규제에 대해서는 72.1%가 ‘기업에 부담’이라고 응답했다. 오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기업은 ESG 공시(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의무화된다. 또 IFRS재단이 설립한 ISSB(국제지속가능성표준위원회)는 이번 달 글로벌 ESG 공시기준 초안을 발표할 예정으로 공시와 관련된 국내외적인 압박이 커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기업들은 일률적인 공시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 이유로는 ‘비재무정보 정량화가 어렵다’(42.9%), ‘공개의무항목 범위가 과도하다’(23.0%), ‘공시 전문인력이 부족하다(16.2%)’ 순으로 집계됐다.

국내 기업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국회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을 묻는 질문에서는 ‘감세·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39.3%), ‘ESG 관련 규제 완화’(26.6%),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17.9%)순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