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1월 원재료수입물가가 59% 급등하면서, 생산자물가가 7.9%p 만큼 상승압력을 받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사태, 글로벌 공급망 훼손 등으로 당분간 국제원재료 가격의 고공행진이 지속될 수 있어 유류세 인하기간을 연장하고, 국제원재료의 원활한 조달을 지원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월별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률 추이 [자료=한경연]](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02/45306_45951_3830.png)
최근 원유‧천연가스 가격 주도로 원재료수입물가 급등
올해 1월 중 원재료수입물가는 59% 급등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에 따른 원유 및 천연가스 수입물가의 급등이 원재료수입물가의 상승을 주도했다.
실제로 올해 1월 중 유종별 국제원유가격 상승률은 현물가격 기준으로 WTI 68.9%, 브렌트유 65.8%, 두바이유 61.3%로 나타났다.
올해 1월 생산자물가 상승압력 7.9%p
한경연은 올해 1월 원재료수입물가 59% 상승에 따른 생산물가 상승압력은 7.9%p라고 밝혔다. 2010년 이후 분기별 자료를 이용해 추정한 원재료 수입물가 1% 상승에 따른 생산자물가 상승폭이 0.13%p로 나타난 결과다.
![2022년 1월 원재료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생산자물가 상승압력 [자료=한경연]](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02/45306_45952_4145.png)
지난해 12월 중 생산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9% 상승했다. 부문별로는 상품의 기여도가 7.9%, 서비스가 1.1%였다. 상품의 구성산업별 기여도는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공산품이 7%로 가장 높았다.
공산품 구성 업종별 기여도는 제1차 금속이 2%로 가장 컸고, 이어서 석탄 및 석유제품 1.5%, 화학제품 1.4%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12월 공산품 구성 업종별 생산자물가 상승 기여도 [자료=한경연]](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02/45306_45954_4214.png)
한경연 추광호 경제정책실장은 “최근 원유‧천연가스 등 국제원재료가격의 고공행진으로 당분간 생산자물가의 상승세는 지속질 것으로 보인다”며, “생산자물가는 국제원재료가격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올 4월까지로 한정된 유류세 인하조치를 연장하고 국제원재료의 원활한 조달을 위한 지원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 한경연, “고금리 시대, 고정금리 대출 확대해 상환 부담 줄여야”
- 한경연, “세계적 기술 트렌드는 스마트기기, 기기 간 연결성, AI·로봇, ESG”
- 치솟는 원자재 가격에 기업채산성 적색등… 스마트팩토리 도입 빨라진다
- “이대로 가다간 90년생부턴 국민연금 한 푼도 못 받아”…연금개혁 시급
- “올해 수출 증가율, 지난해보다 크게 둔화”
- 규제완화, 기술발전 속도 못 따라가… AI‧IoT‧AR 등 신성장 산업 규제완화 필요
- 한국경제연구원,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연간 기업수익성 1.8%p↓ 물가1.6%p↑”
- 한경연, 올해 경제성장률 3.9%로 0.1%p 상향 전망… 설비투자는 완만한 회복 예측
- 한국 핵심노동인구 고용률 OECD 36개국 중 29위!
- 한경연, “코로나 기간 중 저소득층 물가부담, 고소득층의 1.4배”
- 중소기업 79.6%, “ 글로벌 공급망 변화로 부정적 영향…가장 큰 어려움 원자재 수급 단계”
- 기대인플레 진정시켜야 소비자물가 잡힌다…체감물가 안정 대책 필요
- 한국 경제성장률 올해 2.3%, 내년 1.9% 전망…스태그플레이션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