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충북 청주시 오창공장 생산라인 신·증설을 위한 대규모 신규투자를 진행하고 고용 인원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충청북도, 청주시와 함께 올해부터 2026년까지 오창산업단지에 총 4조원 규모의 배터리 생산시설 신·증설 투자를 진행하고, 약 1800명을 신규 채용하는 내용의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월 19일 밝혔다. 이날 충북도청에서 열린 투자협약식에는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이범석 청주시장, LG에너지솔루션 CRO 이방수 사장 등이 참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체 투자액 4조원을 오창공장 원통형 배터리 생산라인 신·증설 및 설비투자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신규 생산라인의 경우 원격 지원, 제조 지능화, 물류 자동화 등 최신 스마트팩토리 관련 시스템을 전격 도입해 생산성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충청북도와 청주시는 이 같은 LG에너지솔루션 투자 계획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 적극적인 행정 및 재정적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날 김영환 충청북도지사는 “LG에너지솔루션 투자애로해결 TF팀을 운영해 행정인허가부터 공장 착공, 준공, 가동시까지 책임지고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 역시 투자 진행 과정에서 지역 업체 참여 및 생산 자재·장비의 구매 등을 통해 지역경기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 충청북도, 청주시는 이번 투자협약을 통해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 동안 총 1,800여명 규모의 신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미국 금리 인상,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글로벌 경기 침체가 현실화 되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LG에너지솔루션의 대규모 투자가 대한민국과 충청북도의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이번 투자를 통해 충청북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레이크파크 르네상스 완성과 대한민국 배터리산업의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시 관계자는 “최근 LG에너지솔루션은 독보적인 매출성장과 스마트팩토리 기반의 차별화된 생산역량 확보를 통해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며, “이번 투자를 계기로 청주 오창이 LG에너지솔루션의 투자와 함께 이차전지 산업의 세계적 거점으로 더욱 성장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 CRO 이방수 사장은 “충북도와 청주시, 그리고 지역사회의 지지는 LG에너지솔루션이 글로벌 배터리 선도업체로 성장하는데 있어 큰 동력”이라며, “이번 투자를 통해 충북 지역 경제활성화 및 고용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LG엔솔‧GM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美 국채금리로 25억달러 투자 자금 확보
- 포스코케미칼, 美 얼티엄셀즈 배터리용 인조흑연 음극재 9,393억원 수주
- K-배터리, 중국 외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56%
- LG엔솔-포스텍, 배터리 분야 산학협력 강화 나서
- LG엔솔, 美 컴파스 미네랄사와 탄산리튬 장기 공급계약 체결
- LG엔솔 사내기업 ‘AVEL’, 제주에너지공사와 제주 전력망 안정화 나서
- [B트렌드] 3분기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량… K-배터리 점유율 25.2%
- LG엔솔, 호주 기업에게 흑연 공급받는다… 북미 핵심 원재료 공급망 강화
- LG엔솔-혼다, 40GWh 규모 美 배터리 공장 건설 위해 손 잡다
- LG엔솔, 한화그룹과 손잡고 미국 배터리 시장 공략
- 충북도, 반도체·이차전지 육성에 머리 맞댄다… 내달 7일 국회 토론회 개최
- 충북 충주시, 이차전지 3개사 1,380억 규모 투자 유치
- LG엔솔-서울대, 전고체·리튬황전지 등 차세대 배터리 공동 연구 맞손
- LG엔솔, 지난해 매출 최다 실적 달성… 스마트팩토리 등 올해 생산역량 강화
- LG, 2050년까지 탄소중립 여정 밝혀… 국내 첫 그룹 차원 넷제로 보고서 발간
- 충북도,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전략산업 육성 위한 국회토론회 개최
- 이장섭 의원, 산업부 장관에 ‘충북 특화단지’ 지정 당위성 강조
- 충북도, 이차전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결의대회 개최
- LG엔솔, 북미 배터리 시장 공략 박차… 美 애리조나에 7조원 투자
- 충북도, 태양광 모듈 ‘259%’ 이차전지 양극재 ‘175%’ 증가… 수출 선봉에
- [이차전지특구_충북청주] 충북도, 이차전지 산업 글로벌 허브 구축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