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사이버 해킹으로 297만 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롯데카드 사태와 관련해 피해 고객들이 집단소송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출 정보에 카드번호와 CVC 번호 등 민감한 정보까지 포함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과 분노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달 발생한 롯데카드 해킹사고로 개인정보가 유출된 고객 5700여 명이 집단소송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피해 고객들은 사고 축소·지연 의혹과 미흡한 보상안을 문제 삼으며 법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22일 기준으로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카페'에는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힌 회원이 5700명을 돌파했다. 이 카페는 해킹사고가 언론을 통해 알려진 이후 이달 2일 개설됐다.
롯데카드는 지난 18일 공식 발표를 통해 297만 명, 총 200GB 규모의 고객 정보가 유출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고 발생일은 지난달 14일로 35일이 지나서야 유출 사실과 경위가 공개되며 소비자들의 불만이 폭발했다.
더 큰 문제는 초기 대응 과정이다. 롯데카드는 해킹 사고 직후 금융당국에 1.7GB 규모의 유출이라고 축소 보고했으며, 사고 발생 이후 한동안 홈페이지에 '정보 유출이 없다'는 공지를 유지해 비판을 자초했다.
피해 소비자들은 “롯데카드의 보안 관리 부실뿐 아니라 사고 대응도 무책임했다”며 “현재는 실사용 피해가 없다고 하지만 언제든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불안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일부 피해자는 해외 결제 시도, 스팸전화 급증, 보이스피싱 의심 사례 등을 겪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롯데카드는 유출 고객을 대상으로 ▲연말까지 10개월 무이자 할부 ▲'크레딧케어' 서비스 등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또 카드번호와 CVC번호가 함께 유출된 28만 명에게는 카드 재발급 시 연회비 전액 면제 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실질적인 피해 보상이 아니다”라며 반발하고 있다. 정보 유출 피해자 A씨는 “사고 직후 며칠을 불안하게 보냈지만 명확한 안내가 없었고, 뒤늦게 발표한 보상책도 형식적인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현재 피해자들은 전문 로펌과 연계해 집단소송 절차를 공식화하고 있으며 참여 인원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대해 롯데카드 측은 “현재까지 유출된 고객 중 부정사용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면서도 “이번 해킹 사고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할 경우 전액 보상하며, 입증 책임도 롯데카드가 부담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