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롯데카드가 해킹사고로 유출된 개인정보가 부정 사용됐을 가능성이 존재하는 고객 28만 명 중 약 19만 명에 대한 카드 재발급 신청 등 고객 보호조치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롯데카드는 24일 '고객 보호조치 진행 상황' 자료를 내고 "최근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로 고객분들께 불안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롯데카드는 지난 18일 고객정보가 유출된 297만 고객에게 개별적으로 고객정보 유출 안내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가운데 부정 사용 가능성이 존재하는 고객 28만 명에게는 카드 재발급 안내 문자를 발송하고 안내전화도 병행해 '카드 재발급' 조치가 최우선적으로 이뤄지도록 했다.
그 결과 28만 명의 68% 수준인 약 19만 명에 대해 카드 재발급 신청, 비밀번호 변경, 카드 정지 및 해지 등 보호조치가 시행됐다. 이번 사고로 인한 부정사용 사례는 단 한 건도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9일에는 고객 정보가 유출되지 않은 일반 고객에도 미유출 안내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로써 이달 1일부터 23일 오후 6시까지 고객 정보가 유출된 고객 297만 명 중 카드 재발급 신청 고객은 약 65만 명, 카드 비밀번호 변경 고객은 약 82만 명, 카드 정지 약 11만 명, 카드 해지 약 4만 명 상태가 됐다. 중복을 제외하면 전체 유출 고객의 43% 수준인 128만 명에 대한 고객 보호조치가 시행된 셈이다.
롯데카드 측은 "아직 보호조치가 시행되지 않은 고객에 대한 추가 안내 전화, 카드 재발급에 필요한 충분한 공카드 물량 확보, 하루 최대 카드 발급량 확대 운영 등을 지속하고 있다"며 "추석 연휴 전까지는 28만 명 고객에 대한 보호조치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롯데카드는 이어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피싱 및 해외 부정 결제 사례를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와 연결 지어 언급되는 경우가 있으나, 현재까지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부정사용 시도나 실제 소비자 피해로 이어진 사례는 단 한 건도 확인되지 않았다는 것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했다.
한편, 롯데카드는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피해가 의심되는 고객은 침해 사고 전용 24시간 상담센터로 문의 가능하며, 이번 침해 사고로 인해 발생한 피해에 대해서는 전액 책임지고 보상하겠다는 방침이다.
- 금감원, 롯데카드 해킹 사태에 '전방위 검사'…법 위반 땐 영업정지·과징금 가능성
- "카드번호까지 털렸다"…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 5700명 집단소송 준비
- 롯데의 '하소연' “롯데카드는 롯데그룹 계열사 아닙니다"… 브랜드 훼손 심각한 수준
- [현장]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고객 정보 유출…“전액 보상·보안 강화”
- 롯데카드 해킹 피해, 당초 예상 100배…수만 명 민감정보 유출 '2차 피해' 우려
- 롯데카드 해킹 피해, 예상보다 심각…피해자 최대 '수백만' 될 수도
- '해킹 공격'시도 롯데카드…고객정보 유출은 '미확인'
- “어? 우리 계열사 아닌데...”…‘롯데카드 사태’로 드러난 이름만 남은 기업의 '딜레마'
- 추석 연휴, 무심코 쓴 무료 와이파이 ‘개인정보 덫’ 될 수 있어 '주의보'
- 롯데카드, 해킹 여파로 9월 한 달간 회원 16만명 이탈
-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사임…297만명 고객정보 유출사고 책임
- 롯데카드, 해킹 사고 후 차기 CEO 선임 절차 착수…“신뢰 회복·경영 안정 과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