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환경부가 미세먼지 관리의 전문인력 육성에 나섰다.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유제철)은 6월 15일 ‘미세먼지관리 특성화대학원’으로 중앙대(김정인 총괄책임자, 수도권), 한서대(김종호 총괄책임자, 중부권), 부경대(노영민 총괄책임자, 동남권)를 지정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6월 15일 이들 3개 대학과 관련 협약을 체결해 올해 6월부터 총 3년간 약 18억원(대학당 6억원)을 지원한다.
각 대학은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를 위한 측정, 분석, 평가, 정책 등 전문교육과정(석박사 학위과정 및 트랙과정)을 운영한다. 이들 대학은 특성화대학원의 미세먼지관리 석사과정 신입생과 트랙이수 과정 학생을 6월부터 16명 모집하고, 올해 9월부터 정식으로 대학원을 운영한다.
또한,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2020년 4월 3일)’으로 수도권 외 3개 대기관리권역이 추가 지정됨에 따라 지역사회 미세먼지 문제해결의 근간이 될 수 있도록 전문가를 양성한다. 대기관련 산업체, 공공기관 등과도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도록 현장실습과 견습생(인턴십) 도입 등 취업 연계 과정도 함께 운영할 예정이다.
전문교육 과정을 이수한 인재들은 미세먼지 원인분석과 배출원 관리․모델링 등의 연구, 미세먼지 저감 등 산업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된다.
환경부 금한승 대기환경정책관은 “쾌적한 생활환경, 특히 대기환경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미세먼지 등의 발생과정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산업계 맞춤형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특성화대학원을 통해 국가의 미세먼지 저감‧관리는 물론, 지역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미세먼지 원인규명 나선다… 과기부, 중장기 R&D 전략 수립
- 롯데마트, ‘친환경 전환’ 선언… 신재생 에너지 확대로 ‘녹색 매장’ 구축 나서
- 경기도 광명시흥에 수열에너지 활용한 신재생 친환경단지 조성
- 남동발전, ‘세계 환경의 날’ 맞아 ‘3-Green 캠페인’ 펼쳐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핵심 전략 그린뉴딜… 에너지전환 가속화
- 환경부, 환경분야 국제협력 지원 위한 ‘국제환경협력센터’ 지정기준 마련
- 환경부, 탄소 중립 그린캠퍼스… 신선한 아이디어 찾아요!
- 현대차, 언택트 레이스 ‘2020 롱기스트 런’ 시작
- 강남구, 청담역 미세먼지프리존… 시민공간으로 업그레이드
- 환경부,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 국민 의견 입체적 반영할 것
- 환경부의 ‘학교환경교육 비상선언’, 환경시민 키운다
-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전년보다 20% 강화된 정책 추진 필요
- ‘온실가스 배출권’, 무상할당 대상 축소하고 증권사까지 거래 허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