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가 올해 중소기업 규제영향평가를 통해 각 부처에서 신설되고 강화된 규제 885건을 검토한 결과 34건에 대해 수정의견을 제출하고, 이 중 23건을 개선했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개선한 23건에 대한 중소벤처기업연구원 규제영향평가팀의 규제비용 분석결과, 3만8천여개 중소벤처·소상공인의 규제비용을 연간 약 729억원 절감하는 효과가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규제비용 절감효과를 측정하기는 어렵지만 △행정절차 간소화 △행정처분 기준 개선 △규제 적용시점 유예 △규제내용의 명확화로 약 87만개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규제 순응력을 제고하고, 경영상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규제영향평가는 미국의 규제유연성법(Regulatory Flexibility Act)을 벤치마킹해 2009년부터 시행 중인 제도다.
올해 우리나라는 규제영향평가로 △총포‧도검‧화약류 제조업 및 화약류저장소 설치자에 대한 허가 갱신제도 도입 차단 △화장품 사용금지 원료 지정 제외 △폐기물처분부담금제도 존속기한 연장‧부담금 감면구간 세분화 등으로 중소벤처‧소상공인의 규제부담을 완화했다.
중기부 이영 장관은 “앞으로도 적극적인 중소기업 규제영향평가로 각 부처에서 신설, 강화되는 규제가 중소‧벤처기업 및 소상공인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해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영환경 개선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중기부, 스마트공장 성과 공유 위한 ‘2022 스마트제조혁신대전’ 개최
- [포토] 중기부 이영 장관, 구미새마을중앙시장 찾아
- 중기부, 산하기관에 안전관리 강화 및 리스크 관리 주문
- 중기부, 벤처‧스타트업 투자 촉진 인센티브‧중간회수시장 활성화
- 중기부, 스타트업 육성 위해 ‘아기유니콘’ 41개사 추가 선정
- 중기부, 금융감독원과 중소기업 재도약 지원 ‘맞손’ … 선제적 구조개선 프로그램도 확대
- 중소 제조기업 위한 ‘스마트제조혁신법’ 제정안, 27일 국무회의 통과
- ‘소상공인법’ 개정안 공포… 중기부,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적극 지원 예정
- 중기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938억원 지원
- [포토] ‘CES 2023’서 K-스타트업관 찾은 중기부 이영 장관
- 중기부, 2023년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공고… 1,462억 지원
- 국내 벤처·창업, CES 2023서 ‘역대 최다’ 혁신상 수상
- 중기부, ‘벤처투자종합포털’ 서비스 운영 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