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조창현 기자] 인구구조 변화, 제조업 생산성 및 경쟁력 강화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세계 각국에서는 AI를 제조업 내에 결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가 우리 제조업 공정혁신과 생산성 제고를 통한 산업 대전환을 위해 ‘AI 자율제조 마스터플랜’ 수립에 착수했다.
산업부는 강경성 1차관이 자율제조와 관련 있는 주요 기업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AI와 제조업을 접목한 산업 인공지능(Industrial AI) 사례와 발전 방향, 정책적 지원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7일 밝혔다. 간담회에는 LG전자와 LS일렉트릭, DN솔루션즈 및 마키나락스 등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주요 제조업 공정을 분석해 △지능형 생산 △첨단장비 결합 △자율제조 시스템 등을 중심으로 핵심 요소를 식별하고 도입단계, 부처간 협업 등을 담은 ‘AI 자율제조 마스터플랜’을 상반기 중으로 수립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지능형 생산은 디지털트윈 등 산업 데이터와 AI를 결합한 시스템, 첨단장비 결합은 공정 단계별 생산장비에 대한 일체화 및 네트워크 연결을 의미한다. 또 자율제조 시스템은 시스템 통합(integration)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 체계 등을 말한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산업 AI가 제조업 혁신에 강력한 동인이 되고 우리 제조업 미래 경쟁력 확보에도 필수라는 내용해 공감했다. LG전자 황원재 상무는 “LG전자는 제조 공정에 산업 AI 접목을 추진 중이며 점차 사업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회사 내 공정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마키나락스 윤성호 대표는 “미래 제조업이 갖는 경쟁력은 산업 AI와 로보틱스 기술이 좌우할 것이기에 지금이 생산성 혁신을 위한 중대한 전환점”이라며 제조업과 산업 AI간 융합이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부 강경성 1차관은 “AI 자율제조는 과거 전통적인 생산함수에 큰 변혁을 가져오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올해 중으로 시범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제조업에 AI를 입혀 대한민국 제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강력하게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산업부, 기계·로봇 등 국가핵심기술 총 31개 개정 추진
- 산업부 ‘HVDC 기술·산업 포럼 킥오프 회의’ 개최… CBAM 대응
- 정부, K-로봇경제 실현 위해 올해 523억원 투자한다… 차세대 첨단로봇 기술개발 지원
- 정부, 온실가스 국외감축 지원 확대… 50% 지원 10년 걸쳐 상환
- 산업부, CFE 원탁회의 참여… IEA 등에 ‘국제 인증체계’ 구축 제안
- 2024년 10대 제조업 국내 투자 계획 110조원, 작년보다 10% 증가
- 산업부, 2030 자문단 공식 출범… “청년 목소리 존중”
- 산업부, 반월·시화산단서 ‘수출 애로 해소 위한 간담회’ 진행
- 마키나락스, ‘런웨이’ 플랫폼 신뢰도 강화한다… ISO 27001 인증 획득
- 산업부, 엔지니어링 업계와 ‘AI 설계 지능화’ 시동 건다
- 산업부, 항공우주 제조공정 고도화 기술개발 신규 추진…로봇·AI 등 과제 선정
- 산업부, 수출바우처 지원 확대·강화한다… “단계별 해외 마케팅 지원 위한 핵심 사업”
- 대한상의-CF연합, ‘무탄소에너지 잠재력 제고를 위한 세미나’ 개최
- 올해 1분기 제조업 투자, 지난해보다 99.2% 증가했다
- 산업부, 뿌리산업에 대한 지속가능한 성장 생태계 조성에 앞장
- 정부, 반도체 전문가들과 ‘AI-반도체 이니셔티브’ 논의… “AI, 경제성장 좌우하는 핵심 동력”
- 산업부, 업계 지원 위해 전 직원 합심… 올해 1분기에 현장 애로 및 건의 37건 해결
- 산업부, 제4차 수출지역 담당관 회의 개최… “7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 이어질 것”
- “미국이 100일 때, 우리는 80”… 차세대 성장동력 ‘AI 반도체’, 경쟁력 강화 위한 지원 필요
- LG전자, 구글과 손잡고 생성형 AI 로봇시대 연다
- 버티브코리아-LS일렉트릭, AI 시대 ‘맞춤형 통합솔루션’ 제공
- LS일렉트릭-제이스텍, 배터리 제조 공정 자동화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