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스마트팩토리 기술 및 트렌드 주제로 6개 트랙, 40개의 전문가 강연 통해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제시
[인더스트리뉴스 박규찬 기자] 대한민국 제조산업의 메카, 경남 창원에서 오는 9월 5일(수)부터 7일(금)까지 3일간 개최되는 ‘2018 경남 창원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 엑스포(SMART FACTORY 2018)가 오늘 우리나라 최초로 생산 제조현장에서 개최됐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자체 차원의 스마트공장 지원 컨트롤타워인 ‘스마트공장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는 경남 창원에서 개최된 이번 행사는 구미와 포항을 겨냥한 경북권, 울산과 창원·김해·양산 등의 경남권, 광양과 여수 등을 겨냥한 전남권 등에 소재한 약 1만7,000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정밀기계부품, 자동차부품, 조선산업, 석유화학, 제철철강 등 제조산업에 최적화된 강연과 제품 솔루션을 3일간 선보일 예정이다.
![대한민국 제조산업의 메카, 경남 창원에서 오는 9월 5일(수)부터 7일(금)까지 3일간 개최되는 ‘2018 경남 창원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 엑스포(SMART FACTORY 2018)가 우리나라 최초로 생산 제조현장에서 개최됐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9/26404_17648_2334.jpg)
이날 개막식에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규환 국회의원을 비롯해 창원시 정구창 제1부시장,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 중소벤처기업부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권영학 청장, 인더스트리뉴스./FA저널 스마트팩토리 최정식 발행인, 경남테크노파크 정보산업진흥본부 윤명현 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최철안 원장은 개회사에서 "기존 수도권 중심에서 이렇게 창원에서 처음으로 경남 창원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엑스포가 개최되서 기쁘다"며 무엇보다 현장에서 힘써주신 기관들과 기업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최 원장은 “아울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제조산업들은 앞으로 스마트화를 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다”며, “많은 여론이 스마트팩토리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 생각하지만 정작 기정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스마트팩토리 구축 기업 평균 2.2명이 오히려 더 늘었다”고 밝혔다. 이어 최 원장은 “이에 정부차원에서도 많은 중소 제조기업들이 스마트화를 하는데 있어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런 계기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창원시 정구창 제1부시장은 환영사를 통해 우선 서울에서만 보던 대규모의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를 창원에서 보게 돼 기쁘다며 소감을 밝혔다. 이어 창원은 40년 이상 대한민국 산업의 중추역할을 해오고 있으나 이제는 노후화가 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팩토리화가 그 돌파구라고 강조했다. 이에 경상남도는 2,000개를, 창원시는 600개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할 예정이며, 창원시에는 현재 4,500개의 공장이 있는데 이 전체를 스마트화하는 것을 목표로 중앙정부, 지방정부, 기업들이 힘을 모아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규환 의원은 축사를 통해 “본인은 정치를 하는 국회의원이 아닌 실무를 하고자 하는 국회의원이 되고자 한다”며, “이번 창원에서 개최되는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와 함께 창원에 고등기술연구원 설립을 통해 전 세계 최고의 발명품을 창원에서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정치보다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영역에서 최선을 다해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슈나이더일렉트릭코리아, 한국페트라이트, 티라유텍 등 전 세계 스마트팩토리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세계적인 기업들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가하는 이번 행사는 6개의 트랙과 40개의 강연이 진행되며, 100여개의 국내외 최첨단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공급기업이 참가해 현장에서 솔루션을 직접 전시, 데모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동시 개최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매칭데이’ 행사를 통해 공급기업에게는 다양한 판매처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용기업에게는 다양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및 제품들을 접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자신의 기업에 맞는 솔루션 및 제품을 선택, 구입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지역본부도 ‘스마트팩토리 통합 구축상담 및 컨설팅 서비스 존’을 운영,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관심이 있는 국내 기업체 담당자들이 ERP와 PLM, MES, IoT 등에 걸쳐 자세한 무료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한편 참관객을 위한 다양한 혜택으로는 컨퍼런스 강연주제가 모두 수록된 강연자료집 3권을 3일 간 선착순으로 무료로 제공되며, 매일 강연 종료 후 진행되는 푸짐한 경품 추첨 행사도 진행된다. 온라인(www.smartfactorykorea.com) 사전등록을 하면 무료입장이 가능하다.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엘모모션컨트롤, 스마트 매뉴팩처링에서의 모션 컨트롤 역할 밝혀
- 경남,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구축 위한 최적 솔루션은?
- 창원형 스마트 제조 혁신, 성장 동력 되살린다
- 허성무 창원시장, 지역 국회의원과 국비 확보 힘모은다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김규환 의원, "창원에 고등기술연구원 설립으로 세계 발명품 개발 선도"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창원시 정구창 제1부시장, "창원내 스마트공장 600개 구축"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기정원 최철안 원장, "스마트팩토리 구축으로 일자리 창출할 것"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산단공 배은희 본부장, "혁신제품 위해서는 제조 스마트화가 우선"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중기부 권영학 청장, "창원시와 함께 스마트팩토리화에 앞장 설 것"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슈나이더일렉트릭, 제조산업에서의 기술혁명을 제시한다
- 미쓰비시전기, “IoT는 목적 아닌 수단, IoT 통해 제조 혁신 이끌 것”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기정원, 스마트공장 고도화로 중소기업 혁신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페펄앤드푹스, 물류 자동화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 소개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B&R산업자동화, OEM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도입 전략 제공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아이에프엠, 모니터링 위한 스마트센서 활용방안 제시
- [창원스마트팩토리코리아] 티라유텍,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도입 필요성 제시
- 기술 강국 주도할 혁신 중기 육성, 스마트 팩토리로 이룬다
- 포스코·삼성·LG 등 스마트팩토리 확산 사업 속도 붙인다
- [포토] 김경수 도지사, 경남 창원 국제 스마트팩토리 엑스포 현장에서 스마트공장 확산 의지 밝혀
- 한국페트라이트, Network 시그널정보기기로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 어려움 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