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김창섭)은 5월 26일, 2020년 상반기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선정결과를 발표했다.
입찰 결과, 100kW미만 소규모 발전소는 1만2,469개소가 접수돼 2.38:1의 경쟁률을 나타냈으며, 100kW이상 1MW미만 중규모 발전소는 7,974개소로 9.63:1의 경쟁률을, 1MW이상 대규모 발전소는 164개소로 2.17: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전체 평균 경쟁률은 4.89:1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하반기 평균 경쟁률이 7.3:1이었던 것에 비해 크게 낮아진 수치이며, 선정용량이 전년 하반기 500MW에서 1,200MW로 확대된 효과로 분석된다. 입찰 선정 발전소는 총 6,264개소로 전년대비 약 2.4배 증가하였으며, 용량별로는 100kW미만 5,187개소, 100kW이상 1MW미만 827개소, 1MW이상 250개소로 나타났다.
또한, 용량별 평균 선정가격은 100kW미만 16만1,927원, 100kW이상 1MW미만 14만0,653원, 1MW이상 14만2,000원 이었으며, 전체 평균 선정가격은 15만1,439원으로 결정됐다. 이 중 설치예정인 발전소의 전체 평균 선정가격은 14만7,964원으로 나타났다.
한국에너지공단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를 가지는 한국수력원자력 등 22개 공급의무자의 의뢰에 따라 공급의무자와 발전사업자 간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에 대한 20년 장기계약 대상 사업자를 선정하고 있으며, 이번 상반기 입찰은 한국남동발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등 6개 공급의무자로부터 각 200MW, 총 1,200MW의 용량을 선정의뢰 받아 진행됐다.
이번 입찰을 통해 선정된 사업자는 선정배분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공급의무자와 20년 간의 공급인증서 판매계약을 체결해야 되며, 기한 내에 계약을 체결하지 못할 경우 계약이 취소될 수 있다.
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이상훈 소장은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 이번 입찰을 통해 기존 현물시장에서 거래하던 많은 발전사업자가 20년 장기 고정가격계약을 체결하여 사업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하반기에는 RPS 시장에 대한 종합적인 모니터링과 현황 분석을 통해 태양광 시장을 보다 안정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경쟁 입찰 선정결과는 ‘RPS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시스템’에서 사업자번호 및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해 개별발전소별로 확인할 수 있다.
- 기후변화센터-에너지공단-남동발전, 기후변화대응 해외사업 업무 협약
- 경제성·환경성 갖춘 육상풍력 활성화 박차… ‘육상풍력 입지지도’ 개발
- REC5.0 종료 초읽기... 방향 잃은 ESS 산업 운명은?
- 올해 하반기 태양광 탄소인증제 본격 시행… 저탄소 제품 인센티브 부여
- 태양광 인버터 ‘KS 인증’, 코로나19로 인한 심사일정 문제없나?
- 한국에너지공단, 상반기 RPS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실시… 역대 최대 1.2GW 선정
- 제주에너지공사, 2020 RPS 고정가격계약자로 선정
- 트리나솔라, 6회 연속 ‘Top Performer’ 모듈 제조업체로 인정받아
- 한국에너지공단-서울시, ‘도시형 그린뉴딜’ 통해 생태계 조성 사업 선도
- 한국에너지공단, 기재부 주관 ‘공공기관 경영평가’ 3년 연속 A등급 달성
- 한국에너지공단, KT 등 15개 대기업과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업무협약 체결
- RPS 유연성 확대 및 ESS 안정성 강화 위한 관리운영 지침 개정
-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 안전 강화 결의대회 개최
- 한국에너지공단, 2020년도 하반기 RPS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