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가 총 10억원(도비 2억원, 시군비 2억원, 자부담 6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도내 25개 마을(500㎾)에 ‘주민 참여형 마을공동체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한다고 7월 27일 밝혔다.
그동안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발표 이후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되면서 발전소 건설을 두고 지역 주민과 외지인 사업자간 갈등이 발생하는 등 주민이 참여하지 않는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사업은 마을주민이 태양광발전소를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으로 ‘주민수용성 문제’를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경상남도는 지난해 처음으로 남해군 등 7개 시군 31개 마을에 ‘마을공동체 발전소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해 전력판매 수익을 지역주민 복지에 활용하는 등 주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마을공동체 발전소’는 지역주민이 직접 사업주체가 돼 마을회관, 창고 건물의 지붕·옥상·주차장 등 마을의 유휴공간을 활용해 기존 환경훼손 문제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주민의 소득 창출을 통해 주민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마을공동체 발전소 태양광 지원 설치용량은 20~50㎾이며, 설치비용은 약 6,000만원(30㎾ 기준)으로 지자체 보조금 지원을 통해 자부담은 설치비용의 60% 이하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태양광 30㎾ 설치 시 10여 가구가 사용이 가능한 연간 3만9,000㎾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된 전력을 판매할 경우 연 700~800만원 정도의 발전수익이 발생한다. 수익은 마을회 운영 등 공동경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마을공동체 발전소’는 유지보수비용과 운영비를 제외한 수익금 전액을 지역주민의 복지 증진에 활용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주민들과 마찰 없이 태양광 보급을 늘려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경상남도 이수부 에너지산업과장은 “주민참여형 마을공동체 발전소는 환경훼손 없는 유휴부지의 효율적 이용은 물론, 마을의 안정적 소득창출을 통한 농촌복지 향상과 친환경 재생에너지 보급이라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주민참여형 사업모델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마을은 7월말까지 관할 시군 에너지부서로 문의하면 된다.
- 경남도, 스마트공장 고도화 위한 산업용 솔루션의 국산화 추진한다
- 경남도, 스마트공장 고도화 및 국산화 위해 481억원 투입
- 경남도, 지역 내 1,087개 경로당에 태양광 보급한다
- 경남도, 올해 2,000가구에 가정용 미니태양광발전소 보급한다
- 경남도, 생애 첫차로 전기차 구매하는 도민에 우선순위 부여
- 경상남도, 자부담 낮춘 가정용 미니태양광 보급 확대
- 경남도, ‘2019 경상남도 에너지효율대상’ 개최
- 화웨이, AI 접목시킨 스마트 태양광 시대 선도한다
- [칼럼] 포스트코로나 시대, 성공적인 태양광발전소 구축을 위한 전략과 노하우
- 경남도, 교통혼잡 및 안정성 개선 위한 스마트 교통 인프라 대폭 늘린다
- 경남도, 대기오염물질 배출 위반업체 무더기 단속
- ‘농촌의 현재와 미래 잡는다’ 경남도, ‘스마트팜 혁신밸리’ 착공식 진행
- 부산시, 학교 태양광발전 잉여전력 거래 활성화 나서
- 경남도, 민·관 협력과 소통 강화로 기후위기 극복 나서
- 경남도, 3월까지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지속 추진한다
- 경남 미래 이끌 창의융합형 인재 1,666명 신규 선발
- 경남도, 친환경에너지 보급 통한 에너지복지 실현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