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가 ‘환경교육도시’에 최종 선정됐다. 부산시는 지난 10월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환경부 조명래 장관이 주재하는 수여식에서 부산시 박성훈 경제부시장이 직접 참석해 환경교육도시 지정서와 현판을 수여 받았다고 밝혔다.
환경교육도시 지정사업은 지역단위 환경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환경부가 올해부터 추진하는 사업이다. 환경부는 지난 6월,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환경교육도시 공모를 진행해 △환경교육도시 비전 및 기반 △환경교육계획의 적정성 △계획 이행의 충실성 등 3개 분야 16개 평가지표를 기반으로 서면·현장평가를 거쳐 부산시와 충청남도(광역), 수원시·성남시(기초) 등 4개 지자체를 최종 선정했다.
부산시는 앞으로 3년간 환경부에서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환경교육시설 설치·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한 국비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받을 예정이다.
부산시는 지난해부터 환경교육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지역 내 환경단체 및 관련 기관들과 환경교육도시 조성을 공론화하고, 유관기관·단체와 업무협약 체결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를 토대로 지난해 9월에는 광역지자체 최초 ‘환경교육도시 부산 선언’을 이끌어내 ‘부산시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환경교육 권리실현’을 비전으로 하는 환경교육 정책 방향을 세웠다.
부산시는 올 연말까지 다양한 환경교육 주체들과 논의를 거듭해 부산환경교육선언에서 제시한 환경교육의 구체적 실천방안을 담은 환경교육계획(2021~2025)을 수립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 환경교육거점기관 조성 △기초 환경교육센터 지정으로 마을 단위 환경교육 활성화 △환경교육기관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기반 조성 △지역 특화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확대 보급 △환경교사 채용, 환경교육시범학교 확대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부산시 박성훈 경제부시장은 “이번 환경교육도시 지정을 통해 부산의 환경교육을 체계화해 지역 사회에 환경교육이 뿌리내릴 수 있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전했다.
- 부산테크노파크, 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로 중소형 LPG 추진선 상용화 속도
- 서부산 새로운 미래성장동력 사상스마트시티 첫삽뜬다
- 부산시, 2030년까지 수소전기 시내버스 500대 운행키로
- GS건설-부산시,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관련 MOU 체결
- 부산시, 공장 밀집지역 환경관리 취약업체 기획수사 진행
- 숲의 도시 조성하는 부산, ‘Green 패트롤카’ 운영
- 부산제조혁신협의회, 신규 스마트팩토리 구축 위해 머리 맞대다
- 부산테크노파크, ICT 중심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으로 글로벌 히든 챔피언 만든다
- 부산시, 수소에너지 보급 확대… 수소충전소 구축 전 주민설명회 개최
- 부산시, 1,190여 가구에 태양광 총 3.57MW 보급 지원
- 2024년까지 부산 모든 해수욕장에 ‘지능형 CCTV’ 배치한다
- 부산시, 태양광 지원사업 등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발표
- 부산시, ‘탄소중립분야 규제자유특구 연계 사업 수요조사’ 시행
- 성남시, 친환경 보일러 교체 가정에 20만원 지원
- 부산시, 설 연휴기간 산불방지 특별대책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