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경기도에 탄소중립 산업단지가 조성된다.
경기도는 기후 위기, 에너지 대전환 등 새로운 시대 변화에 맞춰 탈탄소 전환과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이끌 ‘경기도형 탄소중립 산업단지 조성’ 시범사업이 이천과 화성에서 추진된다고 3월 28일 밝혔다.
‘경기도형 탄소중립 산업단지’는 산업부문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 대부분을 산단이 차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 산업단지의 탈탄소 전환과 에너지 자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추진하는 정책이다.
경기도와 화성시, 이천시, 경기주택도시공사, 한국에너지공단, SK에코플랜트, 한국제약협동조합 등 협약 기관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신규 산단인 ‘이천 대월2 일반산단’, 기존 산단인 ‘화성 향남제약 일반산단’ 총 두 곳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들 산단은 유사·동종 업종이 집적화돼있고, 의사결정 협의체가 있어 사업추진이 용이한 장점을 갖췄다.
이중 ‘대월2 일반산단’은 지난해 11월 산단 지정계획에 반영돼 약 6만㎡ 규모로 신규 조성되는 곳으로, 연료전지·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과 에너지 통합 관리시스템을 조성단계부터 적용한다.
특히 전국 신규 조성 산단 중 최초로 ‘탄소중립’ 개념을 적용했으며, RE100 선도기업 중 하나인 ‘SK에코플랜트’가 파트너로 참여해 대·중·소 상생협력의 모범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와 이천시는 인·허가 등 행정·제도적 지원을, 경기주택도시공사는 사업 시행과 산업용지 적기 공급을 맡는다. SK에코플랜트는 탄소중립 기술 지원과 협력기업들의 산단 입주 독려에 협력한다.
‘화성 향남제약 일반산단’은 지난 1985년에 준공된 약 65만㎡ 규모의 전국 최대 의약품 생산 산업단지로, 저탄소·고효율 에너지 산업단지 전환 및 친환경 에너지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화성형 그린뉴딜 종합계획’과 ‘향남제약산업단지 3040 추진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전력 소비 중 신재생 발전 비중을 40%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화성시,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제약협동조합은 그린뉴딜 사업 추진, 제로에너지건축물 보급 확대,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각종 행정적·재정적 지원 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경기도는 이번 시범사업을 토대로 2025년까지 ‘경기도형 모델’을 도출한 뒤, 이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산단 유형별 실제 적용 등 사업화 단계를 거친 후, 2050년까지 도내 산단 전체로 확산할 계획이다.
경기도 이한규 행정2부지사는 “기후 위기라는 위협에서 국민의 생명과 우리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라며, “이번 시범사업이 대한민국 탄소중립 실현의 모범 모델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경기도, 중소기업 인증획득부터 품질혁신까지 전과정 지원한다
- 경기도, 도내 중소기업 데이터 활용·디지털 전환 지원
- 경기도, 올해 노후경유차·건설기계 등 저공해조치에 933억원 지원
- “기업의 지방세 정보, 한 권으로 해결하세요”
-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색도 제거 신기술 특허 등록…“운영비 절반 절감, 친환경적”
- 경기도, 비접촉식 버스 요금 자동결제 서비스 ‘태그리스’ 확대 운영
- 크라우드 펀딩으로 성공 창업 도전하세요!
- 경기도, 올해 강소기업 도약 꿈꾸는 ‘스타기업’ 40개사 선정 33억원 지원
- 경기도, 산업단지 공유경제 활성화한다
- 산업단지 대개조 본격화, 22개 노후 산단 경쟁력 높인다
- 경기도, 올해 전기차 등 친환경차 4만여대 보급… 6,368억원 지원
- 경기도, 글로벌기업 부품 수주 추진하는 중소·중견 제조기업 지원
- 경기도, 투자유치비법 31개 시군에 전한다
- 글로벌은 녹색예산제 시행 중…우리나라도 표준 모델 개발 서둘러야
- 지구온난화 1.5 ℃ 제한 위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43% 감축 필요
- 수익공유 태양광발전소 모델 확산 중…경기도민 햇빛발전소 1~5호기 준공
- 기술개발비 지원하면 경제적 효과는 얼마? 1억원 지원해 6억4,000만원 효과 발생
- 누리플렉스, 베트남 태양광 시장 진출… SP그룹과 EPC 계약 체결
- 화성시,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 추진… 태양광설비 설치비 지원
- 정부, 계획입지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활성화 위해 지원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