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제주특별자치도는 에너지자립도시 조성과 탄소중립 기반 구축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는 ‘2023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참여를 위한 수요조사를 다음 달 10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내년도에 제주시와 서귀포시 일부 주택·상가·공공건물 등에 태양광·태양열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설치를 희망하는 주민은 오는 6월 10일까지 해당 읍·면사무소를 방문 신청하면 된다. 현재까지 태양광 8,494kW, 풍력 132kW, 태양열 121㎡가 보급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신청 대상은 수요조사 지역 내 주택 및 소상공인 건물 소유자로 사업지역 주민센터 또는 읍·면사무소에 방문 신청하면 된다.
제주특별자치도 관계자는 “수요조사량은 행정시 별 태양광 880kW(약270개소), 태양열 1,054㎡(약 103개소)로 현장을 확인한 뒤 최종 선정할 계획”이라며, “특히, 태양광 지원은 최소화하고 제주 전력계통에 영향이 없는 태양열을 우선순위로 보급할 계획이다. 이에 따른 지방비 보조금도 태양광보다 2% 상향 지원한다”고 안내했다.
지방비 보조율은 태양광 27% 이상, 태양열 29% 이상으로 국비 보조율을 감안하면 자부담은 태양광 27% 이하, 태양열 5~6% 이하로 책정됐다. 최종 지원액은 사업계획 수립 시 확정될 예정이다.
한편, 2023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선정 결과는 산업부, 에너지공단의 평가를 통해 10월 중 발표 예정으로 사업에 선정될 경우 2023년에 추진하게 된다.
제주특별자치도도 윤형석 미래전략국장은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은 도민의 에너지복지를 위한 사업”이라며, “전력계통에 영향을 주지 않는 태양열 보급 확대를 통해 전력계통 안정화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전남도, 에너지신산업 선도... 지역혁신클러스터 성과평가 2년 연속 최고등급
- 신안군, 비금면 267세대에 태양광·태양열 설치 완료
- ‘솔라시티’ 대구시, 시민 참여 신재생에너지 지원사업 확대 추진
- 모습 드러낸 국내 최초 ‘바이오수소융복합충전소’… 청정수소 및 국산화율 향상 기여
- 제주도, "이제 전기차 충전은 태양광 활용한 EV융복합 충전스테이션에서"
- 진천군,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추진… 총 45억7,000만원 투입
- 사용후배터리로 만든 ESS, 풍력발전에 활용한다
- 6월 21일 새정부 에너지정책 방향 공청회 열린다
- 제주도에 미래 폐자원 재활용산업 육성 위한 대규모 자원순환클러스 들어선다
- 제주도, ‘2040 플라스틱 제로 아일랜드’ 선언… 글로벌 선진 모델 만든다
- 거창군, 신재생E 전력자립률 37% 달성… “탄소중립 에너지복지 도시 조성할 것”
- 제주도, 풍력 이어 태양광도 공유화한다… “도민사회에 이익 환원 목표”
- 제주도, 총인구 사상 첫 ‘70만명 시대’ 진입
- 제주도 2040년엔 1회용품 없는 섬 된다
- 강원 고성군, ‘2023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공모
- 영광군, 3년 연속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 공모사업 선정
- 전남도, 2023년 신재생에너지 지원사업 국비 224억 확보
- 평택시, 2023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공모 선정
- 진천군, ‘2023년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선정… 6년 연속
- 전주시, 내년 신재생설비 확충에 32억원 투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