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한국 주요 수출업종의 글로벌 경쟁력이 이미 중국에 상당 부분 추월당한 데 이어, 5년 뒤에는 10대 전 업종에서 중국이 한국을 앞서게 될 것이라는 국내 기업들의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0대 수출 주력업종의 매출액 1000대 기업(20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최근 시행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 결과를 17일 공개했다.
국내 기업들은 현재 가장 강력한 수출 경쟁국으로 중국(62.5%)을 꼽았다. 이어 미국(22.5%), 일본(9.5%)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2030년에도 중국의 비중이 68.5%로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해 중국과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은 22.0%, 일본은 5%로 오히려 감소했다.
기업들은 한국을 100으로 설정했을 때 현재 경쟁국들의 경쟁력 수준을 미국 107.2, 중국 102.2, 일본 93.5로 평가했다. 2030년에는 미국 112.9, 중국 112.3, 일본 95.0으로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며, 중국이 미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도약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들은 특히 업종별 경쟁력 비교에서 이미 한국이 중국에 뒤처진 분야가 절반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중국이 앞선 업종은 철강(112.7), 일반기계(108.5), 이차전지(108.4), 디스플레이(106.4), 자동차·부품(102.4) 등 5개다.
반면 한국이 우위를 보이는 업종은 반도체(99.3), 전기·전자(99.0), 선박(96.7), 석유화학·석유제품(96.5), 바이오헬스(89.2) 등 5개 분야였다.
하지만 5년 뒤에는 상황이 완전히 반전될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2030년 중국이 10개 전 업종에서 한국 경쟁력을 앞서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격차 확대가 두드러지는 업종으로는 이차전지(119.5), 일반기계(118.8), 철강(117.7), 자동차·부품(114.8) 등이 꼽혔다.
한국이 아직 우위를 보이는 업종들 역시 반도체(107.1), 전기·전자(113), 선박(106.7), 석유화학·석유제품(106.2), 바이오헬스(100.4) 등으로 2030년에는 모두 역전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미국과의 비교에서도 한국의 경쟁력 우위 업종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현재 미국보다 앞서는 분야는 철강(미국 98.8), 선박(90.8), 이차전지(89.5) 등 3곳뿐이다. 기업들은 2030년 미국이 철강에서 100.8까지 올라 한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했다.
결국 한국이 우위를 유지하는 업종은 선박(미국 90.0)과 이차전지(93.4) 두 분야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경쟁력 요인별 비교에서도 중국은 가격경쟁력·생산성·정부 지원 등에서, 미국은 상품 브랜드·전문 인력·핵심 기술에서 한국보다 우위라는 평가가 나왔다.
기업들은 현재 한국이 중국에 비해 앞서는 항목이 ‘상품 브랜드’뿐이지만, 향후 이마저도 중국에 역전될 것으로 판단했다. 미국과는 생산성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기업들은 한국 기업 경쟁력 약화의 주요 요인으로 국내 제품경쟁력 약화(21.9%), 대외 리스크 증가(20.4%), 내수 부진(19.6%), AI 등 핵심 기술 인력 부족(18.5%) 등을 들었다. 노동시장 및 기업 법제의 경쟁국 대비 낙후(11.3%)도 문제로 지적됐다.
정부에 바라는 정책 과제로는 대외 리스크 최소화(28.7%)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핵심 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18.0%), 세제·규제 완화 및 노동시장 유연화(17.2%), 미래기술 투자 확대(15.9%) 등이 제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