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기창 기자] 한국전력(사장 김종갑)은 9월 2일 한전 본사에서 전라남도, 나주시와 함께 ‘그린수소 사업 협력 MOU’를 체결했다.
정부는 지난 5월 탄소 배출 없는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한전을 사업자로 선정했고,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한 수전해(P2G) 기술을 통해 그린(Green)수소를 만들어 저장하는 사업을 정부과제로 추진 중이다.
그린(Green)수소란 이산화탄소 배출을 수반하지 않는 수소로 주로 수전해(P2G)기술을 통해 수소를 생산한다. 반면, 수소를 추출 및 생산하는 과정에서 질소산화물, 이산화탄소 등을 배출하는 수소를 그레이(Gray) 수소라고 하며, 현재 국내에서 생산하는 수소는 모두 그레이(Gray)수소다.
재생에너지 연계 수전해(P2G)기술이란 수송, 발전 및 도시가스 연료로 활용하는 전력가스화(P2G, Power To Gas) 기술이다.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바탕으로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H2)를 생산 및 저장하거나, 생산된 수소와 이산화탄소(CO2)를 결합해 천연가스의 주성분인 메탄(CH4)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날 MOU에서 한전은 그린수소 기술개발 및 사업추진을 주관하고, 전라남도와 나주시는 수소 생산에 필요한 태양광 설비 지원 및 인허가 등 행정지원을 담당한다.
그린수소 사업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했다. 전력계통 안정성 유지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날 한전은 한국동서발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및 한양대 등 17개 기업·기관과도 ‘그린수소 기술개발 협력 MOU’를 체결했다. 한전은 수전해·메탄화·운영기술 개발 및 실증을 총괄하고, 참여기업·기관은 수전해 수소 생산·저장·메탄화 및 운영시스템 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한전 김종갑 사장은 “한전은 전라남도, 나주시, 참여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해서 정부 에너지전환 정책에 부응하고, 중소기업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까다로워진’ 전기저장장치 기술 기준…오는 9월 공고 예정
- 한전, 도서발전소 주변지역 대학생 대상 총 1억5,000만원 장학금 전달
- 강원도, 탄소배출권 연계 사회공헌사업 추진 박차
- 한전 전력연구원, LS산전과 세계 최대 ‘직류 에너지 자립섬’ 조성
- 한전, 2분기 영업이익 전년 동기 대비 3,885억원 개선
- 한전, 5개 공기업과 감사역량강화 위한 MOU 체결
- 한국동서발전, ‘윤리문화제’로 청렴 중요성 일깨워
- 동남권에너지공기업, 협업 아이디어 통해 국민의 삶의 질 높인다
- 한국동서발전, 울산 지역 대학생 초청 채용설명회 개최
- 동서발전, ‘최신 기술’ 통해 ‘고품질’ 태양광 발전 시동
- 주택용 계절별·시간대별 요금제 시행된다… 실증사업 본격 추진
- 한전, 빅데이터 활용한 ‘전기품질관리 모바일 서비스’ 제공
- 한국동서발전, 사회공헌·지역협력 워크숍 개최
- 한전, 안정성 높인 인공지능 ‘가스터빈 감시 시스템’ 개발
- ‘빛고을’ 광주, 글로벌 에너지엑스포 열린다… 미래 에너지 집중 조명
- 한전, 중동에서 최초로 풍력사업 추진
- 한전, 신한은행과 중소기업 수출 금융길 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