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형우 기자] 인천시(시장 박남춘)는 ‘인천시 미세먼지 특성을 반영한 항만·공항 미세먼지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2개 분야 12개 사업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시는 지리적으로 중국·몽골 등 국외 발생원의 영향과 9개의 발전소·수도권매립지, 12개 산업단지·정유사, 항만·공항 등 다양한 발생원이 복합적으로 존재해 대기질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2024 미세먼지저감 종합대책’ 수립,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코로나19’ 영향에 의한 사업장 배출량 저하 등의 효과로, 2019년 대비 초미세먼지 평균농도가 25% 감소하고 연평균농도 또한 감소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시는 전체 배출원 중 24.1%를 차지하는 비도로오염원(선박·항공 등) 중 그간 관련 법령 미비 등으로 체계적 관리가 미흡했던 항만·공항 발생 미세먼지에 대해 관련 법령 제정을 계기로 관리계획을 수립·시행함으로써 미세먼지 저감 목표를 달성하고 시민들이 체감하는 미세먼지 개선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항만 발생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추진과제로, 선박미세먼지/항만미세먼지/고농도미세먼지 3개 배출원 8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인천시 초미세먼지(PM2.5) 배출 비중의 10.1%를 차지하는 선박 분야 추진 과제인 ‘인천항 황산화물 배출규제해역 지정’과 3천 톤 이상 외항선을 대상으로 항비 감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선박저속운항(Vessel Speed Reduction) 프로그램’ 운영은 규제뿐만 아니라 지원을 통해서 항만 지역 미세먼지 개선에 큰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시는 구와 합동으로 항만 내 비산먼지사업장 단속, 운행차 배출가스 점검 등을 통해 항만 발생 고농도 미세먼지를 중점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인천공항 미세먼지는 공항특수차량 및 운행차 배출가스 정기점검, 항공기 지상전원공급장치(AC-GPS) 설치·운영, 전기차 충전기 설치 등의 친환경 차량·장비 확충 3개 사업 관리를 통해 점진적으로 저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세부실행을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를 조만간 개최하고 기관별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백현 환경국장은 “관련 법령 시행에 의한 ‘항만 지역 등 대기 질 개선 종합계획(해수부)’, ‘공항의 대기개선계획(공항공사)’ 수립을 위한 충분한 의견교환과 사전협의를 통해 항만·공항 지역 대기질 개선방안이 마련돼 시민이 체감하는 미세먼지 개선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 환경부, 환경분야 국제협력 지원 위한 ‘국제환경협력센터’ 지정기준 마련
- 창원시, 스마트 버스정류장 설치… 미세먼지·폭염·미세먼지 등 막는다
- 광주 서구, 미세먼지 날릴 살수 차량 운행
- 기후변화센터, '배달 음식 없는 하루 챌린지' 이벤트 진행
- 군포시, 아동·어르신 등 취약계층 이용시설 공기질 무료 측정
- 서초구, 지역주민 위한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수준 높인다
- 양주시, 녹색 산업단지 조성… ‘스마트가든볼’ 설치 사업 진행
- 환경실천연합회, ‘리틀 포레스트 서포터즈’ 모집
- 인천시-포스코에너지, 교량 투신 자살예방 위해 ‘태양광’ 난간 설치
- 인천시, 기업 유치로 ‘첨단 AI산업 도시’ 도약 준비
- 인천시, 2년 연속 활력있고 아름다운 거리 조성한다
- 여수광양항, 세계 최초 탄소제로 항만으로 탈바꿈 ‘시동’
- 인천시, 스마트한 도시 만든다… ‘디지털 뉴딜 종합계획’ 공개
- 급변하는 글로벌 물류시장… ‘항만배후단지 고부가가치화’로 돌파구 찾아야
- 인천공항, 쉥커와 배송센터(GDC) 건립 추진… 글로벌 물류 허브로 ‘우뚝’
- 인천공항 내 첫 ‘수소충전소’, 내년 1월 4일부터 운영 개시
- 인천공항공사, ‘가치그린 희망여행 캠페인’ 진행… 친환경 여행 문화 확산 앞장
- ‘초미세먼지 잡자’ 전남도, 4개월간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 인천항만공사, ‘지능형 신재생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