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10월 2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6동 회의실과 벨기에 브뤼셀 유럽연합 사무소를 화상으로 연결해 ‘한-유럽연합(EU) 그린딜 정책협의회’ 제2차 회의를 열고, 그린뉴딜 협력과 국제무대 공조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우리나라 측은 안세창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이, 유럽연합 측은 아스트리드 슈마커(Astrid Schomaker)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환경총국 글로벌 지속가능발전 국장이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한-유럽연합 그린딜 정책협의회는 올해 6월 문재인 대통령이 유럽연합을 그린뉴딜 정책의 중요 동반자(파트너)로 언급한 정상회담의 후속으로 열리는 것이다.
올해 7월에 열린 제1차 정책협의회에서 양측은 그린뉴딜 정책추진 전반에 대한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분야별 세부논의를 위한 제2차 회의 개최를 약속한 바 있다. 이번 제2차 정책협의회에서 양측은 최근 그린뉴딜 정책의 추진 동향을 공유하고 생태복원, 순환경제, 녹색금융 및 그린뉴딜 국제협력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우선 우리나라는 그린뉴딜을 △재정투입 △민간투자(펀드·금융) △법·제도 개선 △지역 확산의 4개 축으로 추진 중인 현황을 소개하고, 유럽연합은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조정 및 2050년 탄소중립 등 유럽기후법 제정안 논의와 관련된 최근 동향을 공유했다.
생태복원과 관련해 우리나라는 그린뉴딜에 포함된 ‘국토 생태계의 녹색 복원’ 방안을 설명했다. 유럽연합은 올해 5월에 발표한 ‘2030 생물다양성 전략’ 중 특히 보호지역, 생물이동통로, 도시 생태복원 관련 정책을 소개했다.
순환경제와 관련해 우리나라는 폐기물의 발생부터 처리까지 종합적 개선 방안을 담은 지난 9월 23일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 계획’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유럽연합은 올해 3월 발표한 ‘순환경제 행동전략’의 주요 내용을 발표하고 국제 공조 방안을 제안했다.
녹색금융과 관련해 우리나라는 한국형 녹색금융 분류체계, 녹색채권 안내서 마련 등 녹색산업 성장기반 구축 방안을 소개하고, 유럽연합은 ‘지속가능한 금융전략’ 및 지속가능한 금융 국제 플랫폼 구축방안 등 추진 중인 전략을 소개했다.
아울러 내년 우리나라에서 개최하는 제2차 ‘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P4G)’ 정상회의를 계기로 추진 중인 ‘글로벌 그린뉴딜 연대’ 선언 등 국제무대에서 그린뉴딜의 확산을 위한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이번 제2차 정책협의회를 계기로 우리나라와 유럽연합 간 그린뉴딜의 세부 분야별로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라며, “양측 간 공조를 통해 코로나19와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그린뉴딜이 국제사회에 확산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21년 언택트·디지털·저탄소 산업 성장 본격화 전망
- 그린뉴딜·비대면·바이오… 1조 조성 ‘스마트대한민국펀드’ 마무리 단계
- 경남도, “경남형뉴딜과 동남권메가시티 쌍두마차 타고 한국판뉴딜 선도할 것”
- 서부산 새로운 미래성장동력 사상스마트시티 첫삽뜬다
- 정부, ‘수소 발전 의무화 제도 도입’… 20년간 25조 투자 기대
- 9월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 슈퍼브에이아이·딥노이드·솔트룩스 선정
- 한국형 뉴딜 ‘스마트 그린산단’ 성공 위해 경기도·산업부 등 맞손
- 경남 ‘5G 스마트공장’, 광주 ‘ESS 발전’ 등 규제자유특구 논의
- 과기부·금융위, AI·5G+ 등 디지털 분야 ‘뉴딜펀드’ 투자 설명회 열어
- 테크다스, AI를 이용한 연소설비 배기가스 측정 가상센서 개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불 165개 기업 그린‧바이오분야 협력방안 논의
- 부산에서 1,000억 규모 1호 지역뉴딜 벤처펀드 조성… 지역뉴딜 성공 이끈다
- 탄소중립사회 탄력, 저탄소·친환경 고속열차 첫 운행… ‘KTX-이음’ 5일부터 정식 운행
- EU, 산업부문 저탄소기술 투자 확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