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가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534만4,000톤을 감축한다. 부산시는 ‘부산광역시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수립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5개 부문 64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1월 9일 밝혔다.
부산시가 설정한 감축 목표치 534만4,000톤은 1,488만7,000톤이었던 2017년 배출량 대비 35.9% 감축된 양으로 이는 정부에서 권고한 목표치 29.5%를 훨씬 웃돈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만큼, 부산시는 산업·발전 등을 제외하고 관리 가능한 부문(비산업부문)에 한해서는 감축 정책 추진에 매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건물(상업·공공) △공공·기타 △수송 △폐기물 △흡수원 등 5개 분야 64개 과제를 선정해, △1단계(2021~2023년) △2단계(2024~2026년) △3단계(2027~2030년) 등 단계별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실적평가와 환류를 시행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건물(상업·공공) 부문에서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사업 보급, 탄소포인트제 추진 등과 △공공·기타 부문에서 공공기관 조명등 고효율화, 공공기관 및 학교 태양광발전시설 보급 등을 추진한다. △수송 부문은 친환경자동차 보급, 수소차 보급 활성화 등을 △폐기물 부문은 유기성폐자원바이오가스화시설 건립, 매립장 LFG발전시설 운영 등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흡수원 부문은 도시바람길 숲 조성, 미세먼지 차단숲·도시숲 조성 등이 있다.
아울러 부산시는 기후변화대응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활동, 그린아파트 인증제 등 시민과 함께 생활 속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활동도 확대할 예정이다.
부산시 변성완 시장권한대행은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민 한분 한분이 생활 속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시민과 함께 푸른 도시 부산을 만들어 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부산시, 환경부 공모 ‘환경교육도시’에 최종 선정
- 에스와이, 부산항만 물류창고 지붕에 2MW 규모 태양광발전 수주
- 남부발전, 부산역 선상 주차장 지붕에 공공협업형 제1호 태양광발전 설비 준공
- 부산시, 수소에너지 보급 확대… 수소충전소 구축 전 주민설명회 개최
- 부산시, 1,190여 가구에 태양광 총 3.57MW 보급 지원
- 국내 에너지전환 우수사례 선정… 안산시, 서울에너지공사, 레즐러 대상
- 충남도, 수소차 구매제한 해제 및 충전소 확대로 ‘수소경제 실현’ 추진
- 옥천군, ‘2021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에 최종 선정
- ‘푸른 하늘 만들자’ 17개 시도,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 부산시, 학교 태양광발전 잉여전력 거래 활성화 나서
- 서울시, 국내 도시 최초로 ‘2050 온실가스 감축 추진계획’ C40 제출
- 부산시, ‘탄소중립분야 규제자유특구 연계 사업 수요조사’ 시행
- 부산시, 설 연휴기간 산불방지 특별대책 추진
- 대전교육청, 친환경 그린에너지 시대에 ‘한걸음 더’
- 부산시, 배출가스저감사업 확대… 5등급 경유차 및 노후 건설기계 대상
- 부산시, 탄소중립 생활 실천 우수한 ‘그린아파트’ 7곳 선정
- 부산시, ICT 결합한 태양광발전소 유지관리 플랫폼 구축한다
- 함양군, ‘2025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